성묘 갔다 벌에 쏘였다면…"손 대신 신용카드로 벌침 제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머리 부위 감싸고 몸 낮춘 채 신속히 대피해야"
야외활동 많은 9월에 벌 쏘임 사고 빈발 해마다 추석 무렵이면 벌 쏘임 사고도 증가한다.
벌에 쏘이지 않는 게 최선이지만, 피치 못하게 쏘였을 경우 응급 대처 요령도 익혀둘 필요가 있다.
2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7∼2021년)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전국 23개 병원 응급실서 보고된 벌 쏘임 사고는 모두 5천457건이었다.
벌초와 성묘, 추수, 단풍놀이 등으로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9월에 사고의 25.3%가 집중됐고, 10월에도 자주 발생했다.
평일보다는 주말에, 하루 중엔 오후 시간대에 사고가 잦았다.
응급실로 들어온 벌 쏘임 환자 중 5년간 24명이 사망할 정도로 위험하기 때문에 벌집이 있을 수 있는 산이나 숲에 갈 때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벌 쏘임을 예방하기 위해선 향수, 화장품, 스프레이 등 향이 있는 물품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벌은 어두운색 계열의 옷에 공격성을 보이므로 흰색 계열 밝은색 옷을 입는 것이 좋고, 긴 옷을 이용해 신체 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
실수로 벌집을 건드렸을 때는 머리 부위를 감싸고 몸을 낮춘 채 최소 20m 이상 떨어진 곳까지 신속히 대피해야 한다.
벌에 쏘였을 때는 신속히 벌침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깨끗한 손이나 소독된 핀셋으로 벌침을 제거하면 될 것 같지만, 이 경우 벌침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벌침에 남은 독이 체내로 흡수될 수 있어 위험하다.
대신 신용카드 등으로 살살 긁어 벌침을 제거하는 게 바람직하다.
쏘인 부위는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은 후 얼음주머니 등으로 찜질하는 게 좋다.
벌에 쏘이면 통증과 가려움, 부기에 더해 식은땀, 두통, 구토 증상 등이 생길 수 있다.
사람에 따라 아나필락시스(알레르기 과민반응)가 나타날 수도 있다.
두드러기와 입술, 혀, 목젖의 부종, 가슴 답답함, 의식 저하 등 아나필락시스가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한다.
/연합뉴스
야외활동 많은 9월에 벌 쏘임 사고 빈발 해마다 추석 무렵이면 벌 쏘임 사고도 증가한다.
벌에 쏘이지 않는 게 최선이지만, 피치 못하게 쏘였을 경우 응급 대처 요령도 익혀둘 필요가 있다.
2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7∼2021년)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전국 23개 병원 응급실서 보고된 벌 쏘임 사고는 모두 5천457건이었다.
벌초와 성묘, 추수, 단풍놀이 등으로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9월에 사고의 25.3%가 집중됐고, 10월에도 자주 발생했다.
평일보다는 주말에, 하루 중엔 오후 시간대에 사고가 잦았다.
응급실로 들어온 벌 쏘임 환자 중 5년간 24명이 사망할 정도로 위험하기 때문에 벌집이 있을 수 있는 산이나 숲에 갈 때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벌 쏘임을 예방하기 위해선 향수, 화장품, 스프레이 등 향이 있는 물품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벌은 어두운색 계열의 옷에 공격성을 보이므로 흰색 계열 밝은색 옷을 입는 것이 좋고, 긴 옷을 이용해 신체 노출을 최소화해야 한다.
실수로 벌집을 건드렸을 때는 머리 부위를 감싸고 몸을 낮춘 채 최소 20m 이상 떨어진 곳까지 신속히 대피해야 한다.
벌에 쏘였을 때는 신속히 벌침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
깨끗한 손이나 소독된 핀셋으로 벌침을 제거하면 될 것 같지만, 이 경우 벌침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벌침에 남은 독이 체내로 흡수될 수 있어 위험하다.
대신 신용카드 등으로 살살 긁어 벌침을 제거하는 게 바람직하다.
쏘인 부위는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은 후 얼음주머니 등으로 찜질하는 게 좋다.
벌에 쏘이면 통증과 가려움, 부기에 더해 식은땀, 두통, 구토 증상 등이 생길 수 있다.
사람에 따라 아나필락시스(알레르기 과민반응)가 나타날 수도 있다.
두드러기와 입술, 혀, 목젖의 부종, 가슴 답답함, 의식 저하 등 아나필락시스가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