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아부다비로 출국…손흥민·이강인 등 해외파 합류해 완전체로 전훈
6일 중동팀 상대 평가전으로 '모래바람 예방주사'…10일 도하 입성
클린스만호가 64년 만의 우승에 도전하는 카타르 아시안컵을 앞두고 중동 팀과 평가전을 치른다.
대한축구협회는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대표팀이 내달 6일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전지훈련 캠프에서 평가전을 치를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
축구협회는 상대를 밝히지는 않았으나 이라크, UAE, 카타르 등 중동 팀이 물망에 오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간 아시안컵에서 중동 팀의 일격에 허무하게 탈락한 경험이 많은 만큼, 중동 팀을 상대로 확실한 '예방주사'를 놓겠다는 계획으로 보인다.
한국은 1960년 제2회 대회 이후 아시안컵에서 한 번도 우승하지 못했다.
늘 '아시아아 최강'임을 입증하겠다며 정상에 도전했으나 매번 실패했고, 그중 상당수는 중동 팀에 발목이 잡힌 경우였다.
직전 대회인 2019년 UAE 대회에서 한국은 카타르에 8강에서 패해 짐을 쌌다.
2007년 동남아 대회에서는 준결승에서 이라크에 승부차기로 져 우승 꿈을 접어야 했다.
2004년 중국 대회에서는 8강에서 이란, 2000년 레바논 대회에서는 준결승에서 사우디아라비아에 져 탈락했다.
1996년 UAE 대회 때는 8강에서 이란에 무려 2-6이라는 점수로 대패하는 악몽을 경험하기도 했다.
클린스만호의 아시안컵 우승 도전은 이달 26일부터 시작한다.
이날 국내파 주요 선수들이 서울 근교에서 소집돼 훈련에 들어간다.
국내파 훈련에 참가할 선수의 명단은 18일 발표될 예정이다.
본선 최종명단은 12월 마지막 주에 발표되며, 선수단은 내달 2일 전지훈련 캠프인 아부다비로 이동, 최종
K리그1 평균 관중 첫 1만명 돌파…'43만' 서울·'34만' 울산 흥행 견인
인종차별 SNS·교체 실수 등 경기장 안팎 '시끌'
2023년은 프로축구 K리그가 흥행의 '신기원'을 연 한 해로 남게 됐다.
2023시즌 K리그1은 총 244만7천147명, K리그2는 56만4천362명의 관중을 끌어모았다.
두 리그 모두 유료 관중 집계가 시작된 2018년 이후 단일 시즌 최다 관중 신기록이 나왔다.
종전 기록은 2019년의 K리그1 182만7천61명, K리그2 53만6천217명이었다.
K리그1·2를 합한 올해 프로축구 총관중 수는 301만1천509명으로, 유료 관중 집계 시대 들어 처음으로 300만명을 넘어섰다.
K리그1은 경기당 1만733명의 관중이 찾아오며 유료 관중 집계 이후 최초로 '평균 1만명' 고지도 밟았다.
40주년을 맞이한 K리그는 이번 시즌 1부 개막 라운드부터 승강제 시대(2013년∼) 개막 라운드 최다 관중 기록(10만1천632명)을 세워 '역대급 흥행'을 예고했다.
승강제 도입 이후 최소 경기 신기록인 96경기 만에 100만 명을 돌파했고, 176경기를 치른 시점에 2019시즌 수치를 이미 앞지르며 유료 관중 집계 이후 K리그1 단일 시즌 최다 관중 기록이 새로 쓰였다.
지난해 카타르 월드컵 16강 진출로 커진 축구에 대한 관심이 올 시즌 K리그 현장으로 이어진 게 사실이지만, 이에 그치지 않고 K리그는 연일 뜨거운 승부와 각 구단의 마케팅 노력 등이 더해지며 그 자체로 하나의 '콘텐츠'가 되기 시작했다.
국내 최대 경기장인 서울월드컵경기장을 사용하는 인기 구단 FC서울이 19차례 홈 경기에서 총 43만29명의 관중을 끌어모아 유료 관중 집계 시대 최초로 단일 시즌 홈 경기 관중 40만명을 넘어서며 흥행을 이끌었다.
서울은 평균 관중 수에서도 2019년의 수치를 넘어서는 2만2천633
'2년 연속 우승' 울산·'구단 첫 ACL 진출' 광주, 별들의 집합소
광주 정호연, 항저우 금메달 목에 걸고 K리그 영플레이어상까지
프로축구 2023시즌은 시즌 초반부터 독주를 이어온 울산 현대가 2년 연속 챔피언 등극을 조기에 확정 짓고 국내 최강팀으로 군림한 해였다.
돌풍의 승격팀 광주FC는 순위 싸움의 한가운데서 결국 파이널A 3위로 시즌을 마무리하며 국내 축구에 신선한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울산과 광주, 두 팀에서 올 한 해 프로축구를 수놓은 별들이 탄생한 것도 당연했다.
먼저 울산의 중앙 수비수 김영권(33)은 K리그1 최우수선수(MVP)에 선정되며 이번 시즌 K리그에서 가장 푸르게 빛난 별이 됐다.
2010년 FC도쿄(일본)에서 프로에 데뷔한 이후 일본과 중국 무대를 거쳐 지난해 울산 유니폼을 입고 K리그에 입성한 김영권은 두 번째 시즌에 최고 선수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시즌 리그 32경기에 출전한 수비의 핵 김영권은 울산을 최소 실점 공동 3위(42실점)로 이끌었다.
최소 실점 1위 포항(40실점)과는 단 2실점 차였다.
2014 브라질, 2018 러시아, 2022 카타르 대회까지 3회 연속 월드컵 출전을 포함해 A매치 103경기를 소화한 만큼 김영권은 든든한 수비와 리더십으로 울산의 뒷공간에 대한 불안함을 잠재웠다.
후방이 안정된 울산은 마음껏 공격에 나서 리그 득점 1위(63득점)에 올랐다.
김영권을 중심으로 한 짠물 수비가 울산의 리그 독주의 밑바탕이 된 셈이다.
홍명보 울산 감독은 김영권을 향해 "제가 하는 축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선수"라며 "빌드업 부문에서는 국내 수비수 가운데 최고다.
올해 우승에 큰 역할을 했다"고 칭찬하기도 했다.
울산의 스트라이커 주민규(33)는 17골을 넣어 제주 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