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북한' 순서로 지칭한 尹…달라진 외교 반영했나(종합2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박진도 '러북'…새 정부 들어 '가치 연대' 앞세우며 '한일중'·'미북'으로
고위관계자 "민족이라 해서 어떤 짓 하든 앞자리에 놓는것 있을 수 없어"
"러시아와 북한 군사 거래는 우크라이나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안보와 평화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도발이 될 것입니다.
"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하면서 양국을 비판하면서 '러시아-북한' 순으로 지칭했다.
통상 정부 발표나 언론 보도에서는 두 국가를 '북한-러시아'(북러) 순서로 표기했다는 점에서 윤 대통령의 표현에 의미가 담긴 것 아니냐는 해석을 불러왔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현지 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여러 해석을 낳을 수 있겠는데 순서 자체를 특정해서 의식적으로 말씀한 것 같지는 않다"면서 "원고에 '러북'이라 써 있어서 순서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여기시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대통령에게 이유를 여쭤보지 않았지만 민족 공조라 해서 북한이 어떤 짓을 하든 앞자리에 불러줘야 한다는 것은 우리 정부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이 양국가의 지칭 순서를 의도적으로 정한 것은 아닐지라도 현 정부 외교 기조가 과거와는 다르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 관계자는 "한국과 진정으로 협력하느냐가 1차적인 기준이 될 것"이라며 "그 다음에는 주변 4강 동맹의 역사, 우방국의 순서에 따라 부르게 되는데 러시아와 북한에 대해서는 정해놓은 순서와 원칙은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이 러시아와 협력하면서 더 직접적 위협을 가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단락이었기 때문에 북한이 뒷자리에 있었던 것 아닌가 생각이 된다"고 덧붙였다.
박진 외교부 장관 역시 지난 10일 인도 뉴델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장관과 만난 자리에서 "'러북 관계'가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준수하는 가운데 한반도 및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이달 초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를 계기로 동북아 3국을 '한중일'이 아닌 '한일중'으로 중국에 앞서 일본을 먼저 표기했다.
동북아 3국의 회의에서 자국을 가장 앞에, 이어 차기 의장국을 먼저 표기하는 원칙도 고려했지만, 윤석열 정부 들어 새로운 외교 기조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지난 6일 기자들과 만나 "우리 정부 들어 가치와 자유의 연대를 기초로 미, 일과 보다 긴밀한 협력이 이뤄지고 있다"며 "그런 점에서 북미보다 미북으로 보고 있고 '한중일'보다 '한일중'으로 부르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볼 때 한미일 안보 협력이라는 이른바 자유민주주의 해양 세력과 연대 강화가 중국-러시아-북한 간 연대로 대표되는 사회주의 대륙 세력과 관계보다 중요하다는 전략적 가치 판단도 깔린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실제 지난 6월 국가안보실이 발간한 '국가안보전략'에서도 일본을 중국보다 앞세워 표기했다.
/연합뉴스
고위관계자 "민족이라 해서 어떤 짓 하든 앞자리에 놓는것 있을 수 없어"
"러시아와 북한 군사 거래는 우크라이나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안보와 평화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도발이 될 것입니다.
"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하면서 양국을 비판하면서 '러시아-북한' 순으로 지칭했다.
통상 정부 발표나 언론 보도에서는 두 국가를 '북한-러시아'(북러) 순서로 표기했다는 점에서 윤 대통령의 표현에 의미가 담긴 것 아니냐는 해석을 불러왔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현지 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여러 해석을 낳을 수 있겠는데 순서 자체를 특정해서 의식적으로 말씀한 것 같지는 않다"면서 "원고에 '러북'이라 써 있어서 순서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여기시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대통령에게 이유를 여쭤보지 않았지만 민족 공조라 해서 북한이 어떤 짓을 하든 앞자리에 불러줘야 한다는 것은 우리 정부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이 양국가의 지칭 순서를 의도적으로 정한 것은 아닐지라도 현 정부 외교 기조가 과거와는 다르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 관계자는 "한국과 진정으로 협력하느냐가 1차적인 기준이 될 것"이라며 "그 다음에는 주변 4강 동맹의 역사, 우방국의 순서에 따라 부르게 되는데 러시아와 북한에 대해서는 정해놓은 순서와 원칙은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이 러시아와 협력하면서 더 직접적 위협을 가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단락이었기 때문에 북한이 뒷자리에 있었던 것 아닌가 생각이 된다"고 덧붙였다.
박진 외교부 장관 역시 지난 10일 인도 뉴델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장관과 만난 자리에서 "'러북 관계'가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준수하는 가운데 한반도 및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이달 초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를 계기로 동북아 3국을 '한중일'이 아닌 '한일중'으로 중국에 앞서 일본을 먼저 표기했다.
동북아 3국의 회의에서 자국을 가장 앞에, 이어 차기 의장국을 먼저 표기하는 원칙도 고려했지만, 윤석열 정부 들어 새로운 외교 기조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지난 6일 기자들과 만나 "우리 정부 들어 가치와 자유의 연대를 기초로 미, 일과 보다 긴밀한 협력이 이뤄지고 있다"며 "그런 점에서 북미보다 미북으로 보고 있고 '한중일'보다 '한일중'으로 부르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볼 때 한미일 안보 협력이라는 이른바 자유민주주의 해양 세력과 연대 강화가 중국-러시아-북한 간 연대로 대표되는 사회주의 대륙 세력과 관계보다 중요하다는 전략적 가치 판단도 깔린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실제 지난 6월 국가안보실이 발간한 '국가안보전략'에서도 일본을 중국보다 앞세워 표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