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NOW] 북일평양선언 21주년…北 "日군국주의 부활" 비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北, 기시다 日총리의 북일정상회담 추진 발언에 무반응
'북·일 평양선언'이 21주년(17일)을 맞은 가운데 북한이 작년과 달리 선언과 관련한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다만 일본의 군비 강화에 대해서는 경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일본 총리는 2002년 9월 17일 평양에서 북일평양선언을 발표했다.
평양선언에는 국교정상화 회담 추진과 과거사 반성에 기초한 보상, (납치 등) 유감스러운 문제의 재발 방지, 핵 및 미사일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관계 구축 등 4개 항이 담겼다.
그러나 김정일 위원장이 일본인 납치 사실을 인정한 것이 일본 내부 여론의 악화를 초래한 데다 정확한 납치 인원과 피해자 생존 여부 및 귀환 문제를 놓고 양측이 대립해 진전을 보지 못했다.
2004년 5월 고이즈미 총리가 재방북해 제2차 북일정상회담을 통해 평양선언 이행을 약속하기도 했지만 북한 핵실험과 일본 내 부정적 여론 등으로 난항을 겪다가 평양선언 이행 노력은 중단됐다.
북한은 평양선언 백지화의 책임이 일본 정부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북한 외무성 송일호 대사는 평양선언 20주년 전날인 작년 9월 16일 "일본은 조일(북일)관계의 성격과 본질을 부정하고 평양선언을 납치, 핵, 미사일 문제 해결을 위한 것으로 왜곡하면서 저들의 불순한 정치적 목적 실현에 악용했다"고 비난했다.
이어 "우리나라(북한)의 막대한 인적, 물적, 정신적 재부(재산)를 약탈하고 조선 민족에게 전대미문의 불행과 고통을 들씌우고도 반성은커녕 아무러한 죄의식조차 느끼지 않고 오히려 '피해자'로 둔갑해보려는 일본의 행태야말로 위선의 극치가 아닐 수 없다"고 강조했다.
당시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3편의 연재 기사 '조일평양선언과 일본'을 통해 일본의 반복적 약속 위반과 조선인 차별 등을 문제 삼았다.
하지만 올해 들어 북한은 북·일 평양선언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 13일 개각 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일본인 납북자 문제 해결을 위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북일 정상회담을 추진하겠다고 재차 밝혔지만 들은 체 만 체하고 있다.
대신 일본의 군비 강화 움직임에 대해서는 지속해 비판하고 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평양선언 21주년 전날인 지난 16일 일본의 미 합동장거리공대지순항미사일(JASSM-ER) 구입 결정 등을 거론하며 일본이 미국산 무기를 대거 사들이려 하고 있으며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미국, 프랑스 등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들과 합동군사연습을 벌이며 지역 정세를 긴장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외세와 야합하여서라도 '대동아공영권'의 옛꿈을 이루어 보겠다는 것이 바로 일본의 더러운 속심"이라며 "패망의 교훈을 망각하고 시대착오적인 군국주의 부활의 길로 미친 듯이 줄달음치고 있는 사무라이 후예들의 행태는 스스로 자멸을 재촉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선중앙통신도 지난 2일 외무성 일본연구소 연구원 김설화 명의로 된 글에서 "일본의 위험천만한 군비확장 책동이 더는 수수방관할 수 없는 계선을 넘어서고 있다"고 비난했다.
최근 중국, 러시아와 밀착하고 있는 북한이 평양선언 이행을 위한 노력보다는 일본의 군사력 강화를 견제하는데 더 신경을 쓴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은 "납치 문제가 거의 해결됐다고 주장하는 북한은 북일정상회담에서 일본에 줄 게 없는 데다 국제사회의 전면적 제재로 받을 것도 없는 상황"이라며 "평양선언 이행에 미련이 없다고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다만 일본의 군비 강화에 대해서는 경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당시 일본 총리는 2002년 9월 17일 평양에서 북일평양선언을 발표했다.
평양선언에는 국교정상화 회담 추진과 과거사 반성에 기초한 보상, (납치 등) 유감스러운 문제의 재발 방지, 핵 및 미사일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관계 구축 등 4개 항이 담겼다.
그러나 김정일 위원장이 일본인 납치 사실을 인정한 것이 일본 내부 여론의 악화를 초래한 데다 정확한 납치 인원과 피해자 생존 여부 및 귀환 문제를 놓고 양측이 대립해 진전을 보지 못했다.
2004년 5월 고이즈미 총리가 재방북해 제2차 북일정상회담을 통해 평양선언 이행을 약속하기도 했지만 북한 핵실험과 일본 내 부정적 여론 등으로 난항을 겪다가 평양선언 이행 노력은 중단됐다.
북한은 평양선언 백지화의 책임이 일본 정부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북한 외무성 송일호 대사는 평양선언 20주년 전날인 작년 9월 16일 "일본은 조일(북일)관계의 성격과 본질을 부정하고 평양선언을 납치, 핵, 미사일 문제 해결을 위한 것으로 왜곡하면서 저들의 불순한 정치적 목적 실현에 악용했다"고 비난했다.
이어 "우리나라(북한)의 막대한 인적, 물적, 정신적 재부(재산)를 약탈하고 조선 민족에게 전대미문의 불행과 고통을 들씌우고도 반성은커녕 아무러한 죄의식조차 느끼지 않고 오히려 '피해자'로 둔갑해보려는 일본의 행태야말로 위선의 극치가 아닐 수 없다"고 강조했다.
당시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3편의 연재 기사 '조일평양선언과 일본'을 통해 일본의 반복적 약속 위반과 조선인 차별 등을 문제 삼았다.
하지만 올해 들어 북한은 북·일 평양선언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 13일 개각 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일본인 납북자 문제 해결을 위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북일 정상회담을 추진하겠다고 재차 밝혔지만 들은 체 만 체하고 있다.
대신 일본의 군비 강화 움직임에 대해서는 지속해 비판하고 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평양선언 21주년 전날인 지난 16일 일본의 미 합동장거리공대지순항미사일(JASSM-ER) 구입 결정 등을 거론하며 일본이 미국산 무기를 대거 사들이려 하고 있으며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미국, 프랑스 등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들과 합동군사연습을 벌이며 지역 정세를 긴장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외세와 야합하여서라도 '대동아공영권'의 옛꿈을 이루어 보겠다는 것이 바로 일본의 더러운 속심"이라며 "패망의 교훈을 망각하고 시대착오적인 군국주의 부활의 길로 미친 듯이 줄달음치고 있는 사무라이 후예들의 행태는 스스로 자멸을 재촉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선중앙통신도 지난 2일 외무성 일본연구소 연구원 김설화 명의로 된 글에서 "일본의 위험천만한 군비확장 책동이 더는 수수방관할 수 없는 계선을 넘어서고 있다"고 비난했다.
최근 중국, 러시아와 밀착하고 있는 북한이 평양선언 이행을 위한 노력보다는 일본의 군사력 강화를 견제하는데 더 신경을 쓴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은 "납치 문제가 거의 해결됐다고 주장하는 북한은 북일정상회담에서 일본에 줄 게 없는 데다 국제사회의 전면적 제재로 받을 것도 없는 상황"이라며 "평양선언 이행에 미련이 없다고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