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마을] 픽션을 쓰려는 여성들은 돈과 자기만의 방이 필요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구은서의 이유 있는 고전
버지니아 울프 <자기만의 방>
버지니아 울프 <자기만의 방>
“당신은 이렇게 말할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부탁한 것은 여성과 픽션에 대해 강연해달라는 것이지 않았나요? 이게 자기만의 방이라는 문제와 무슨 관련이 있나요? 이제 내가 해명할 차례군요.”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마치 자신의 책이 ‘여성과 글쓰기에 대한 문제작’으로 자리매김할 걸 예견한 것처럼요. 페미니즘에 대한 무수한 의심과 공격을 익히 안다는 듯이 말이죠.
이 책은 울프가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강연한 원고를 기초로 1929년에 출간한 논픽션입니다. 대화체 문장이 친숙하면서도 도발적이죠. 울프는 책의 목적이 “여성이 픽션을 쓰고자 한다면 돈과 자신만의 방을 가져야 한다는 말을 전하는 것뿐”이라고 선언합니다. 그래서, 돈과 방이 대체 여기서 왜 나오는 걸까요?
책 속 가상의 인물 ‘메리 시턴’의 이야기가 울프의 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거예요. 시턴은 울프의 분신, 혹은 숙모(캐롤라인 에밀리아 스티븐)의 분신입니다. 울프는 ‘나’뿐 아니라 시턴을 등장시키면서 자신의 주장을 여성 보편의 이야기로 확장시킵니다.
시턴은 어느 날 여성과 픽션에 대한 강연을 준비하려 대학 도서관으로 향합니다. 그런데 관리원이 나타나 물러가라고 손짓합니다. “그 신사는 유감스럽지만 여자는 칼리지 연구 교수와 동행하거나 소개장이 있을 때만 도서관에 출입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낮추어 말했습니다.”
‘돈이 많아 대학 도서관을 짓는 기금으로 내놓았다면 달랐을까?’ 이런 꿈조차 꾸기 힘들어요. 당시 법률상 여성이 자기 재산을 가질 수 있게 된 지 얼마 되지 않았거든요. 수 세기 동안 여성의 재산은 남편 명의로 등록해야 했죠.
울프는 자신에게, 그리고 독자들에게 질문을 던집니다. “왜 한쪽 성은 부유하고 한쪽 성은 가난한가? 가난은 픽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울프는 글 쓰려는 여성에게 필요한 건 공간적 독립(자기만의 방)과 재정적 독립(돈)이라고 주장합니다. 작가뿐일까요. 자기만의 방이란 결국 여성이 자아실현을 위해 뭔가에 몰입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고, 그 시간을 가족과 사회가 당연하게 존중해주는 걸 의미할 거예요.
울프는 셰익스피어에게 뛰어난 재능을 갖춘 주디스라는 누이가 있었다는 상상을 해봅니다. 주디스는 학교를 다니지 못했을 테고, 문법과 논리학을 배울 기회도 얻을 수 없었겠죠. 어쩌다 오빠의 책을 읽으면 부모님은 여자한테 쓸데없는 짓을 하지 말라고 타이릅니다.
울프는 ‘우리가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셰익스피어 누이 같은 사례가 다시 생겨도 시인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말하며 책을 맺습니다. 다행히 우리에게는 울프를 비롯해 여성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노력해온 작가들이 있었지요.
최근 국내 출간된 <문학의 역사>에서 울프는 당당하게 한 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책이 하나의 장을 할애해 소개한 또 다른 작가로는 셰익스피어가 있습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마치 자신의 책이 ‘여성과 글쓰기에 대한 문제작’으로 자리매김할 걸 예견한 것처럼요. 페미니즘에 대한 무수한 의심과 공격을 익히 안다는 듯이 말이죠.
이 책은 울프가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강연한 원고를 기초로 1929년에 출간한 논픽션입니다. 대화체 문장이 친숙하면서도 도발적이죠. 울프는 책의 목적이 “여성이 픽션을 쓰고자 한다면 돈과 자신만의 방을 가져야 한다는 말을 전하는 것뿐”이라고 선언합니다. 그래서, 돈과 방이 대체 여기서 왜 나오는 걸까요?
책 속 가상의 인물 ‘메리 시턴’의 이야기가 울프의 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거예요. 시턴은 울프의 분신, 혹은 숙모(캐롤라인 에밀리아 스티븐)의 분신입니다. 울프는 ‘나’뿐 아니라 시턴을 등장시키면서 자신의 주장을 여성 보편의 이야기로 확장시킵니다.
시턴은 어느 날 여성과 픽션에 대한 강연을 준비하려 대학 도서관으로 향합니다. 그런데 관리원이 나타나 물러가라고 손짓합니다. “그 신사는 유감스럽지만 여자는 칼리지 연구 교수와 동행하거나 소개장이 있을 때만 도서관에 출입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낮추어 말했습니다.”
‘돈이 많아 대학 도서관을 짓는 기금으로 내놓았다면 달랐을까?’ 이런 꿈조차 꾸기 힘들어요. 당시 법률상 여성이 자기 재산을 가질 수 있게 된 지 얼마 되지 않았거든요. 수 세기 동안 여성의 재산은 남편 명의로 등록해야 했죠.
울프는 자신에게, 그리고 독자들에게 질문을 던집니다. “왜 한쪽 성은 부유하고 한쪽 성은 가난한가? 가난은 픽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울프는 글 쓰려는 여성에게 필요한 건 공간적 독립(자기만의 방)과 재정적 독립(돈)이라고 주장합니다. 작가뿐일까요. 자기만의 방이란 결국 여성이 자아실현을 위해 뭔가에 몰입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고, 그 시간을 가족과 사회가 당연하게 존중해주는 걸 의미할 거예요.
울프는 셰익스피어에게 뛰어난 재능을 갖춘 주디스라는 누이가 있었다는 상상을 해봅니다. 주디스는 학교를 다니지 못했을 테고, 문법과 논리학을 배울 기회도 얻을 수 없었겠죠. 어쩌다 오빠의 책을 읽으면 부모님은 여자한테 쓸데없는 짓을 하지 말라고 타이릅니다.
울프는 ‘우리가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셰익스피어 누이 같은 사례가 다시 생겨도 시인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말하며 책을 맺습니다. 다행히 우리에게는 울프를 비롯해 여성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노력해온 작가들이 있었지요.
최근 국내 출간된 <문학의 역사>에서 울프는 당당하게 한 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책이 하나의 장을 할애해 소개한 또 다른 작가로는 셰익스피어가 있습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