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非학술활동 참여 금지" 조항도…'정치적 이견 불허' 포석인듯
中과학원 "국가 석학들, 전공 외 분야 의견 공개발표 금지"
중국 자연과학 분야 최상위 학술기관인 중국과학원이 국가 공인 석학들의 '전공 영역과 무관한 학술적 의견' 공개 발표를 금지하는 새 규정을 만들었다.

7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과학원은 지난달 이런 내용을 담은 개정 '원사 행위 규범'을 발표했다.

원사는 중국 과학기술계 최고의 학술 칭호로, 뛰어난 공헌을 한 과학자에게 종신 영예직으로 주어진다.

중국과학원은 2014년 26조짜리 원사 행위 규범을 제정해왔다.

9년 만에 이뤄진 이번 개정은 종전 규범에 '금지 행위'라는 장을 신설해 총 33조짜리로 만든 것이다.

개정 규범에는 "원사의 명의로 중국과학원과 중국공정원, 학부·학술단체, 학술지 외의 활동에 참가하는 것을 금지한다"나 "원사의 칭호를 딴 비(非)학술 활동 장소 설립에 참여하는 것을 금지한다", "자기 전공 영역과 무관한 학술 의견을 공개 발표하는 것을 금지한다" 등 내용이 추가됐다.

이런 규정 정비는 집권 세력과 '다른 의견', 특히 정치적 이견을 허용하지 않으려는 중국 당국의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에선 중대한 정치적 변곡점에서 석학의 공개적 비판 발언이 주목받은 일이 드물지 않았다.

일례로 시진핑 국가주석의 장기 집권을 가능케 한 2018년 개헌안이 통과되자 중국과학원 원사인 물리학자 허쭤슈는 언론 인터뷰에서 "위안스카이는 개헌을 통해 합법적으로 황제의 지위에 올랐으나, 결국 사람들의 온갖 비난에 직면해야 했다"는 비판 의견을 밝힌 바 있다.

그는 당시 "개헌은 옳은 일을 위해서라고 하지만, 더 많은 옳은 일을 하려는 사람은 더 큰 과오를 저지르기 마련"이라면서 "마오쩌둥 생전에 문화대혁명을 바로잡을 사람이 없었기에 결국 그가 죽고 나서야 바로잡을 수 있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거침없는 언급으로 관심을 모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