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수해 예방 토론회…"풍수해지도 시민 교육" 제언도
"수해대책, 시설 확충만 의존하지 말고 위험성 제대로 알려야"
기후변화로 인한 갑작스러운 폭우 피해를 막으려면 대심도 빗물저류배수시설(빗물터널) 등 시설 확충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시민이 제때 대처할 수 있도록 위험성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고 사전 대비에 힘써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서울시가 6일 개최한 '수해 예방을 위한 시민 정책 토론회'에서는 이 같은 '비구조적 대책'에도 신경 쓸 필요가 있다는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시됐다.

주제 발표를 맡은 이주헌 중부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시간당 처리할 수 있는 강우량 목표인 '방재성능목표'에만 의존하는 수해 대책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폭우 대응력을 높이고자 지난해 12월 방재성능목표를 기존 시간당 최대 95㎜에서 강남역은 110㎜, 그 외 지역은 100㎜까지 올린 바 있다.

이 교수는 지난해 8월 동작구에 시간당 최대 141.5㎜ 비가 내리는 등 예상치 못한 폭우가 내리는 것을 감안하면 방재설비 확충이 분명 중요하지만 한계가 있고, 폭우가 왔을 때 시민이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식의 대책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여태까지 관에서는 '100년 빈도 홍수에도 물이 넘치지 않게 하겠다'고만 말해 사람들이 (지대가 낮은) 강남으로 모여들고 제방 옆에도 아파트가 들어섰다"며 "이제는 '제방 옆은 위험합니다'라고 정확히 알려 시민들이 홍수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해대책, 시설 확충만 의존하지 말고 위험성 제대로 알려야"
토론자로 나선 박문현 동부엔지니어링 전무도 '풍수해지도'를 작성하고 교육해 시민이 서울에서 발생하는 홍수를 이해하고 유사시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돕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100년 빈도 강우가 먼 개념처럼 보이지만 30년이라는 기간 동안 100년에 한 번 내릴 폭우가 내릴 가능성은 26%로 낮지 않다"며 방재시설만으로 수해를 완벽하게 막을 수 있다는 생각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정상만 한국재난안전기술원 원장은 이 같은 비구조적 대책을 통한 사전 대비가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정 원장은 "미국의 경우 허리케인이 오기 3∼4일 전에 경고 방송을 하고 사전 대비를 하는데 우리는 다 끝나고 나서 특별재난지역을 선포한다"며 "예방이 수습보다 경제적이라는 인식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장에서 토론을 참관한 시민들은 "수해가 발생한 지 수년 뒤에도 담당 조직 예산과 규모가 축소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인근 지자체와도 협력해 수해 방지 대책을 세워야 한다" 등의 의견을 냈다.

서울시는 이날 나온 다양한 의견을 참고해 향후 수해 방지대책을 보완할 계획이다.

임창수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기후변화가 심화하는 상황에서 '인명피해 제로화·재산피해 최소화'란 목표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