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휘를 초월한 정명훈…그가 인도한 브루크너의 신세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일 KBS교향악단 정기연주회
한재민 협연 땐 밝고 활기찬 무드
최소의 몸짓으로 최대의 음향
한재민 협연 땐 밝고 활기찬 무드
최소의 몸짓으로 최대의 음향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지휘자.’
지휘자 정명훈(70)을 설명하는 가장 흔한 수식어다. 그를 둘러싼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한국 클래식계에서 차지하는 그의 존재감은 독보적이란 얘기다. 그 의미를 확연히 체감할 수 있는 무대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1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 KBS교향악단 정기연주회도 그랬다.
이날 정명훈은 ‘거장’보다는 ‘도인’이라는 표현이 더 적절해 보였다. 단원과 무대를 장악하고 압도하려는 모습보다 작품을 통달한 듯한 음악적 리더십이 더 눈에 띄었기 때문이다. 그는 어느 지휘자보다도 최소한의 동작으로 최대한의 음악적 스펙트럼을 끌어냈다. KBS교향악단은 최근 선보인 공연 중 가장 응집력이 높고 다채로운 소리를 빚어냈다.
1부 곡은 첼로 신성 한재민의 하이든 첼로협주곡 1번. 정명훈은 지휘봉 없이 손으로 지휘했다. 그는 10대 연주자가 자신의 음악적 영감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도록 배려했고, 한재민은 그 안에서 성숙한 연주력을 뽐냈다. 한재민 특유의 깊은 호흡에서 우러나오는 묵직한 소리, 확신에 찬 보잉은 화려하면서도 유쾌하게 이 곡을 빛냈다.
에너지로 가득 찬 1부와 달리 2부에서는 초월적인 세계로 청중을 이끌었다. 2부에서 들려준 브루크너 교향곡 7번은 브루크너의 11개 교향곡 중에서도 유독 선율적이고 서정성이 돋보이는 레퍼토리다. 말러 교향곡 5번과 같은 멜로딕한 레퍼토리에 유독 강점을 보이는 정명훈에게는 최적의 선곡이었다.
1악장에서는 고요한 현악 파트의 트레몰로가 배경으로 깔리는 가운데 도약하는 음형의 선율로 시작됐다. 애수 어린 선율이 중반부를 이끌다 전체적으로 고조되며 클라이맥스에 도달했다. 이 곡의 시그니처라고 할 수 있는 2악장에는 바그너의 부음을 듣고 애도하는 취지로 작곡한 악구가 포함돼 있다. 저음 현악 파트가 등장하고, 목관 파트의 선율로 이어졌다. 종종 목관 악기의 존재감이 아쉽기도 했지만, 포근한 바그너 튜바의 사운드와 관현악이 어우러지며 묵직한 감동을 자아냈다.
추진하고 추동하는 3악장에서는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기보다는 다소 차분하고 정돈된 모습을 보였다. 후반부에서 금관 파트의 힘이 빠지는 듯하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장대하게 상승하는 화음을 내며 종교적이면서도 숭고한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브루크너의 곡은 말러, 바그너와 함께 음악적으로 복잡하고 발전된 요소가 많은 데다 종교적 색채까지 강해 연주도, 감상도 어렵다. 대작인 만큼 지휘자와 연주자들의 세부 조율이 필수적일 것 같지만, 연습 과정은 그렇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KBS교향악단 관계자에 따르면 “(정명훈은) 리허설할 때 설명이 거의 없다. 지휘로 모든 것을 다 보여주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모든 곡을 암보했고, 음악이 몸 안에 새겨진 DNA인 것처럼 자연스럽게 풀어냈다. 마치 세계적인 지휘자에서 모든 것을 통달한 도인으로 향하는 길목에 들어선 것처럼.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
지휘자 정명훈(70)을 설명하는 가장 흔한 수식어다. 그를 둘러싼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한국 클래식계에서 차지하는 그의 존재감은 독보적이란 얘기다. 그 의미를 확연히 체감할 수 있는 무대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1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 KBS교향악단 정기연주회도 그랬다.
이날 정명훈은 ‘거장’보다는 ‘도인’이라는 표현이 더 적절해 보였다. 단원과 무대를 장악하고 압도하려는 모습보다 작품을 통달한 듯한 음악적 리더십이 더 눈에 띄었기 때문이다. 그는 어느 지휘자보다도 최소한의 동작으로 최대한의 음악적 스펙트럼을 끌어냈다. KBS교향악단은 최근 선보인 공연 중 가장 응집력이 높고 다채로운 소리를 빚어냈다.
1부 곡은 첼로 신성 한재민의 하이든 첼로협주곡 1번. 정명훈은 지휘봉 없이 손으로 지휘했다. 그는 10대 연주자가 자신의 음악적 영감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도록 배려했고, 한재민은 그 안에서 성숙한 연주력을 뽐냈다. 한재민 특유의 깊은 호흡에서 우러나오는 묵직한 소리, 확신에 찬 보잉은 화려하면서도 유쾌하게 이 곡을 빛냈다.
에너지로 가득 찬 1부와 달리 2부에서는 초월적인 세계로 청중을 이끌었다. 2부에서 들려준 브루크너 교향곡 7번은 브루크너의 11개 교향곡 중에서도 유독 선율적이고 서정성이 돋보이는 레퍼토리다. 말러 교향곡 5번과 같은 멜로딕한 레퍼토리에 유독 강점을 보이는 정명훈에게는 최적의 선곡이었다.
1악장에서는 고요한 현악 파트의 트레몰로가 배경으로 깔리는 가운데 도약하는 음형의 선율로 시작됐다. 애수 어린 선율이 중반부를 이끌다 전체적으로 고조되며 클라이맥스에 도달했다. 이 곡의 시그니처라고 할 수 있는 2악장에는 바그너의 부음을 듣고 애도하는 취지로 작곡한 악구가 포함돼 있다. 저음 현악 파트가 등장하고, 목관 파트의 선율로 이어졌다. 종종 목관 악기의 존재감이 아쉽기도 했지만, 포근한 바그너 튜바의 사운드와 관현악이 어우러지며 묵직한 감동을 자아냈다.
추진하고 추동하는 3악장에서는 일사불란하게 움직이기보다는 다소 차분하고 정돈된 모습을 보였다. 후반부에서 금관 파트의 힘이 빠지는 듯하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장대하게 상승하는 화음을 내며 종교적이면서도 숭고한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브루크너의 곡은 말러, 바그너와 함께 음악적으로 복잡하고 발전된 요소가 많은 데다 종교적 색채까지 강해 연주도, 감상도 어렵다. 대작인 만큼 지휘자와 연주자들의 세부 조율이 필수적일 것 같지만, 연습 과정은 그렇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KBS교향악단 관계자에 따르면 “(정명훈은) 리허설할 때 설명이 거의 없다. 지휘로 모든 것을 다 보여주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모든 곡을 암보했고, 음악이 몸 안에 새겨진 DNA인 것처럼 자연스럽게 풀어냈다. 마치 세계적인 지휘자에서 모든 것을 통달한 도인으로 향하는 길목에 들어선 것처럼.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