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에 번지는 쿠데타 바람…옛 종주국 프랑스 입지 '흔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과거 식민 국가에서 연달아 쿠데타…佛군사적·경제적 영향력 '위기'
'민주주의 가치' 강조하면서 독재 정권 지지한다는 비판도…"메시지 명확히 해야"
아프리카 내 서방 빈틈 노리고 중·러 영향력 확대…쿠데타 도미노 우려도 과거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잇따라 군사 쿠데타가 일어나면서 역내 프랑스의 영향력이 더 위축될 거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가장 최근 벌어진 니제르와 가봉의 쿠데타를 같은 성질로 보긴 어렵지만 역내 정세 불안을 틈타 반(反)프랑스 정서가 더 고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일(현지시간) 프랑스 일간 르파리지앵과 르피가로 등에 따르면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 28일 각국에서 활동하는 대사들을 한데 모은 자리에서 아프리카 사헬(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에 "군사 쿠데타라는 전염병"이 번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말리, 부르키나파소 등에 이어 지난 7월 군사 쿠데타가 일어난 니제르를 염두에 둔 발언이었다.
그로부터 하루 만에 중부 아프리카 가봉에서 또 다른 쿠데타 소식이 들려왔다.
최근 몇 년 사이 아프리카에서 쿠데타가 일어난 기니, 말리, 부르키나파소, 차드, 니제르, 가봉 모두 과거 제국주의 시대 프랑스의 식민지였다.
이들 모두 1950년대 후반∼1960년 독립했지만, 여전히 프랑스의 정치적, 문화적, 군사적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프랑스는 사헬 지대를 유럽으로 유입되는 테러리스트들의 온상으로 보고 2013년부터 말리와 부르키나파소 등에 군대를 주둔해 대테러 격퇴전인 바르칸 작전을 펼쳐왔다.
이들 두 나라에 쿠데타 정권이 들어선 이래 병력을 모두 철수했지만 인근 니제르엔 여전히 1천500명, 이번에 쿠데타가 일어난 가봉엔 약 350명의 병력이 주둔해 있다.
가봉에만 80개의 프랑스 국영 기업이 진출해 있는 등 경제적 영향력도 적지 않다.
이런 이유로 프랑스는 '신식민주의'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연이은 쿠데타는 이러한 프랑스의 입지를 뒤흔들고 있다.
말리, 부르키나파소에 이어 니제르 군부도 지난달 초 프랑스와 맺은 군사 협정을 파기한다며 병력 철수를 압박하고 있다.
더 나아가 최근엔 현지 주재 실뱅 이테 프랑스 대사와 가족을 강제 추방하려 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니제르 군부에 합법성이 없다며 대화의 문을 닫은 채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양측의 긴장은 더 고조되는 분위기다.
가봉의 경우, 이번 쿠데타가 민주주의의 탈을 쓰고 벌어진 부정 선거에 반발한 것이라는 점에서 니제르와 상황은 다르지만, 프랑스로서 난감하긴 마찬가지다.
오마르 봉고 전 대통령에 이어 그 아들인 알리 봉고 온딤바 대통령은 55년간 장기 집권하면서 프랑스 정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랑스가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른 봉고 가문을 암묵적으로 묵인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이다.
지난 3월 마크롱 대통령이 유네스코(UNESCO) 환경 정상회의 '원 포레스트 서밋' 참석차 가봉을 방문했을 때, 대선을 앞둔 봉고 대통령을 암묵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간주해 현지 반대 세력이 격렬히 비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르몽드는 최근 사설에서 "한편으로는 민주주의 가치 수호를 외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독재 정권을 지지하는 대조로 인해 프랑스의 입지가 약화하고 있다"며 "이러한 모순적인 메시지는 프랑스의 입장을 흐리게 하고 서방 진영 내에서도 고립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르몽드는 그러면서 "병력 철수와 엄격한 중립성을 지키는 등 입장을 바꾸고 메시지를 명확히 하는 게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아프리카 내 프랑스 등 서방의 입지가 흔들리는 사이 러시아와 중국의 영향력은 점점 커지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달 아프리카 국가 정상들과 정상회의를 열었고, 러시아와 중국이 포함된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신흥 경제 5개국)는 최근 아프리카 내 이집트와 에티오피아를 신규 회원국으로 받아들였다.
아프리카 대륙의 국가 원수들을 정기적으로 만나는 한 서방 관료는 르피가로에 "이것은 위험하고도 의심할 여지 없이 되돌릴 수 없는 사태 진전"이라며 "두 나라가 브릭스에 가입했다는 사실은 아프리카 사람들이 이 방향으로 눈을 돌리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르피가로 역시 "아프리카의 쿠데타 움직임은 서구의 영향력이 쇠퇴하고 있음을 상기시킨다"며 특히 "도미노 효과가 여기서 끝이 아닐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연합뉴스
'민주주의 가치' 강조하면서 독재 정권 지지한다는 비판도…"메시지 명확히 해야"
아프리카 내 서방 빈틈 노리고 중·러 영향력 확대…쿠데타 도미노 우려도 과거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잇따라 군사 쿠데타가 일어나면서 역내 프랑스의 영향력이 더 위축될 거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가장 최근 벌어진 니제르와 가봉의 쿠데타를 같은 성질로 보긴 어렵지만 역내 정세 불안을 틈타 반(反)프랑스 정서가 더 고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일(현지시간) 프랑스 일간 르파리지앵과 르피가로 등에 따르면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 28일 각국에서 활동하는 대사들을 한데 모은 자리에서 아프리카 사헬(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에 "군사 쿠데타라는 전염병"이 번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말리, 부르키나파소 등에 이어 지난 7월 군사 쿠데타가 일어난 니제르를 염두에 둔 발언이었다.
그로부터 하루 만에 중부 아프리카 가봉에서 또 다른 쿠데타 소식이 들려왔다.
최근 몇 년 사이 아프리카에서 쿠데타가 일어난 기니, 말리, 부르키나파소, 차드, 니제르, 가봉 모두 과거 제국주의 시대 프랑스의 식민지였다.
이들 모두 1950년대 후반∼1960년 독립했지만, 여전히 프랑스의 정치적, 문화적, 군사적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프랑스는 사헬 지대를 유럽으로 유입되는 테러리스트들의 온상으로 보고 2013년부터 말리와 부르키나파소 등에 군대를 주둔해 대테러 격퇴전인 바르칸 작전을 펼쳐왔다.
이들 두 나라에 쿠데타 정권이 들어선 이래 병력을 모두 철수했지만 인근 니제르엔 여전히 1천500명, 이번에 쿠데타가 일어난 가봉엔 약 350명의 병력이 주둔해 있다.
가봉에만 80개의 프랑스 국영 기업이 진출해 있는 등 경제적 영향력도 적지 않다.
이런 이유로 프랑스는 '신식민주의'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연이은 쿠데타는 이러한 프랑스의 입지를 뒤흔들고 있다.
말리, 부르키나파소에 이어 니제르 군부도 지난달 초 프랑스와 맺은 군사 협정을 파기한다며 병력 철수를 압박하고 있다.
더 나아가 최근엔 현지 주재 실뱅 이테 프랑스 대사와 가족을 강제 추방하려 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니제르 군부에 합법성이 없다며 대화의 문을 닫은 채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양측의 긴장은 더 고조되는 분위기다.
가봉의 경우, 이번 쿠데타가 민주주의의 탈을 쓰고 벌어진 부정 선거에 반발한 것이라는 점에서 니제르와 상황은 다르지만, 프랑스로서 난감하긴 마찬가지다.
오마르 봉고 전 대통령에 이어 그 아들인 알리 봉고 온딤바 대통령은 55년간 장기 집권하면서 프랑스 정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랑스가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른 봉고 가문을 암묵적으로 묵인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이다.
지난 3월 마크롱 대통령이 유네스코(UNESCO) 환경 정상회의 '원 포레스트 서밋' 참석차 가봉을 방문했을 때, 대선을 앞둔 봉고 대통령을 암묵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간주해 현지 반대 세력이 격렬히 비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르몽드는 최근 사설에서 "한편으로는 민주주의 가치 수호를 외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독재 정권을 지지하는 대조로 인해 프랑스의 입지가 약화하고 있다"며 "이러한 모순적인 메시지는 프랑스의 입장을 흐리게 하고 서방 진영 내에서도 고립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르몽드는 그러면서 "병력 철수와 엄격한 중립성을 지키는 등 입장을 바꾸고 메시지를 명확히 하는 게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아프리카 내 프랑스 등 서방의 입지가 흔들리는 사이 러시아와 중국의 영향력은 점점 커지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달 아프리카 국가 정상들과 정상회의를 열었고, 러시아와 중국이 포함된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신흥 경제 5개국)는 최근 아프리카 내 이집트와 에티오피아를 신규 회원국으로 받아들였다.
아프리카 대륙의 국가 원수들을 정기적으로 만나는 한 서방 관료는 르피가로에 "이것은 위험하고도 의심할 여지 없이 되돌릴 수 없는 사태 진전"이라며 "두 나라가 브릭스에 가입했다는 사실은 아프리카 사람들이 이 방향으로 눈을 돌리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르피가로 역시 "아프리카의 쿠데타 움직임은 서구의 영향력이 쇠퇴하고 있음을 상기시킨다"며 특히 "도미노 효과가 여기서 끝이 아닐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