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방사능 측정 2배 빠르게"…다음달부터 시료 분석에 활용
해수 방사능을 기존 대비 2배 빠르게 검사하는 분석법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개발돼 다음달부터 방사능 분석기관에서 활용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원자력환경실 김현철 박사팀이 해수에 있는 스트론튬-90을 분석하는 기존 기술을 고도화한 연구 성과가 해양 분야 저명 학술지인 '마린 폴루션 불리틴'(Marine Pollution Bulletin)에 게재됐다고 27일 밝혔다.

스트론튬-90은 원자력 환경 평가를 위한 주요 감시 핵종 가운데 하나다.

스트론튬-90은 시간이 지나면 베타선을 방출하며 이트륨-90을 만들어내는데 14일이 지나면 스트론튬-90과 이트륨-90의 방사능은 같아진다.

연구팀은 이런 원리에 착안해 이트륨-90을 흡착하는 수지와 자체 개발한 자동핵종분리장치(KXT-H)를 이용해 이트륨-90을 분석함으로써 스트론튬-90의 방사능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분석법을 지난 2021년 개발했다.

이로써 3주 이상 소요되던 스트론튬-90 분석 시간이 2일로 단축됐다.

이번에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성과는 2021년의 성과보다 진일보한 것으로 대용량 해수 전처리 장비의 시료 처리 능력을 2배 향상시켜 전처리 소요 시간을 6시간에서 3시간으로 단축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또 분석 대상인 이트륨-90의 회수율도 기존 60∼70%에서 90% 수준까지 고도화됐다고 과기정통부는 전했다.

해수 시료량이 증가할수록 정확한 방사능 평가가 가능하다.

김현철 박사 연구팀의 분석법은 올해 9월부터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을 시작으로 국내 방사능 분석기관에서 실제 시료 분석에 활용될 예정이다.

김현철 박사는 "국가적으로 해양 방사능 감시 강화에 따른 분석 물량이 급증하는 이때, 우리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과 분석 장비를 국내 방사능 분석기관이 활용하게 됨에 따라 국내 방사능 분석 역량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해양 방사능 측정 2배 빠르게"…다음달부터 시료 분석에 활용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