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24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컨퍼런스 ‘DAN 23'에서 하이퍼클로바X를 소개하고 있다.  /네이버 제공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24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컨퍼런스 ‘DAN 23'에서 하이퍼클로바X를 소개하고 있다. /네이버 제공
네이버가 오픈AI의 ‘챗GPT’ 대항마로 개발한 한국어 특화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X’를 24일 공개했다. 네이버와 구글, 오픈AI 간 생성형 AI 경쟁이 본격화됐다.

네이버는 이날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컨퍼런스 ‘DAN 23’을 열고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한 ‘팀네이버’의 기술 방향성과 사업 전략을 공유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생성형AI라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할 준비를 마쳤다”며 “하이퍼클로바X와 이를 기반으로 한 신규 서비스로 혁신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하이퍼클로바X는 기존 모델인 하이퍼클로바를 고도화한 생성형 AI다. 네이버가 보유한 50년 치 뉴스와 9년 치 블로그 데이터를 학습하며 한국어 특화 모델로 개발했다. 국내 제도나 문화적 맥락까지 이해하고 소통하는 수준이라고 네이버 측은 설명했다. 하이퍼클로바X는 파라미터(매개변수) 규모가 챗GPT를 넘어서는 2040억 개에 달한다. 코딩과 영어에 대한 학습 비중을 늘리고 논리적 추론 능력을 끌어올리기도 했다.

최 대표는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 B2B(기업 간 거래)에 이르는 생성형AI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올라운더’는 네이버뿐”이라며 “관련 서비스를 순차 출시하며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네이버가 구상한 하이퍼클로바X 기반 서비스는 크게 13종이다. 대화형 AI 서비스인 ‘클로바X’, 생성형 AI 검색 ‘큐(CUE):’, 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AI 플랫폼 ‘프로젝트 커넥트X’, AI 개발도구 ‘클로바 스튜디오’ 등이다.
'챗GPT 대항마' 될까…네이버, 한국어 특화 생성형AI 공개
이날 오후 4시부터 베타서비스를 진행하는 ‘클로바X’가 대표 서비스로 꼽힌다. 클로바X는 창작, 요약, 추론, 번역, 코딩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답변을 제공해준다. 이용자가 “맞춤형 식단 구독 서비스를 구상하고 있다. 투자 제안서 초안을 써달라”고 물어보면 △서비스 소개 △서비스의 특징과 장점 △시장 및 경쟁사 분석 △서비스 목표와 계획 △예상 수익과 투자 유치 계획 등을 담은 투자 제안서 초안을 보여준다.

질문과 답변이 연달아 이어지는 ‘멀티턴’ 대화도 가능하다. “자기소개서 토대로 모의 면접을 진행해줘”라고 하면 클로바X가 자기소개, 지원 동기, 직무 관련 경험 등을 연달아 질문한다.

네이버는 향후 하이퍼클로바X를 검색, 커머스, 광고 등 기존 주요 서비스에 적용 및 활용할 계획이다. 최 대표는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생성형AI 시대를 열겠다”고 강조했다.

오는 11월엔 생성형AI의 ‘브레인 센터’ 역할을 할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각 세종’을 개소할 예정이다. 단일 기업으로는 아시아 최대 규모인 60만 유닉 이상의 서버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