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빛과 소리의 반복이 이렇게 강렬한 것인가… 연극 '혁명의 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 한남동 더줌아트센터에서 개막
미국 실험극 대가 마이클 커비의 희곡
일반적인 연극과 달리 서사가 없어
독립된 8개의 짧은 장면들로 구성
미국 실험극 대가 마이클 커비의 희곡
일반적인 연극과 달리 서사가 없어
독립된 8개의 짧은 장면들로 구성
줄거리도, 제대로된 대사도 없는 연극이 있다. 연극 '혁명의 춤'은 정체 모를 불빛과 소리의 조각이 반복되는 게 전부면서도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작품이다.
얼마 전 서울 한남동 더줌아트센터에서 개막한 이 연극은 미국 실험극의 대가 마이클 커비의 희곡으로, 그의 뉴욕대 제자인 김우옥 전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장(89)이 번역과 연출을 맡았다.
이 작품은 일반적인 연극과 달리 이야기나 서사가 없다. 서로 내용이 이어지지 않는 독립된 8개의 짧은 장면들로 구성돼 있다. 무대와 객석의 구분이 모호한 블랙박스 형태의 소극장에 관객이 양 옆으로 앉는 구조다. 공연이 시작하면 암전으로 칠흙같은 어둠이 펼쳐진다. 배우들이 손전등 불빛을 간헐적으로 비추며 가운데 무대에 등장한다.
공연 내내 알 수 없는 노래와 총소리와 비슷한 정체모를 소리가 짧게 들렸다가 사라진다. 깃발을 흔들거나, 비밀스러운 곳에 잠입하는 듯한 모습 등 혁명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들이 제시된다. 대사도 거의 없다. '그들꺼야' '들려' '기다려' 등 단어 몇개 정도의 대사가 있을 뿐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관객들은 무의미해보이는 반복 사이에서 일정한 패턴과 연관성을 찾아낼 수 있다. 무대의 모든 요소가 존재감이 뚜렷하다. 20대부터 60대까지 연령대가 다양한 배우 13명은 표정과 몸짓만으로 뚜렷한 인상을 남긴다. 전화기, 사진기, 우산, 채찍, 깃발, 총 등 다양한 오브제(상징적 소품)도 활용된다. 관객들이 무대를 가운데 두고 마주보고 앉는 구조로 공연 중간중간 빛이 비출 때마다 다른 관객의 표정과 반응을 관찰할 수 있는 것도 또 다른 재미다.
김 전 원장은 1970~1980년대 미국의 실험극을 국내에 거의 처음 들여왔다. 이 작품도 앞서 1981년에 공연한 적이 있다. 당시 낯선 형식에 당혹해하는 관객이 많았다고 한다. 이번 개막일 공연장 로비에서 만난 김 전 원장은 "과거에는 낯설어하는 관객들이 많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실험극을 공연 자체로 즐기고 재밌어하는 관객이 늘어나고 있는 듯하다"고 말했다.
이 연극은 연극 그 자체로 즐길 수 있는 작품이다. 일종의 문학처럼 어떤 줄거리나 메시지를 찾지 않아도 된다. 종합적인 공연 예술로서의 연극, 독특하고 새로움을 경험하고 싶은 관객에게 추천한다.
공연은 오는 8월 27일까지.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
얼마 전 서울 한남동 더줌아트센터에서 개막한 이 연극은 미국 실험극의 대가 마이클 커비의 희곡으로, 그의 뉴욕대 제자인 김우옥 전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장(89)이 번역과 연출을 맡았다.
이 작품은 일반적인 연극과 달리 이야기나 서사가 없다. 서로 내용이 이어지지 않는 독립된 8개의 짧은 장면들로 구성돼 있다. 무대와 객석의 구분이 모호한 블랙박스 형태의 소극장에 관객이 양 옆으로 앉는 구조다. 공연이 시작하면 암전으로 칠흙같은 어둠이 펼쳐진다. 배우들이 손전등 불빛을 간헐적으로 비추며 가운데 무대에 등장한다.
공연 내내 알 수 없는 노래와 총소리와 비슷한 정체모를 소리가 짧게 들렸다가 사라진다. 깃발을 흔들거나, 비밀스러운 곳에 잠입하는 듯한 모습 등 혁명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들이 제시된다. 대사도 거의 없다. '그들꺼야' '들려' '기다려' 등 단어 몇개 정도의 대사가 있을 뿐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관객들은 무의미해보이는 반복 사이에서 일정한 패턴과 연관성을 찾아낼 수 있다. 무대의 모든 요소가 존재감이 뚜렷하다. 20대부터 60대까지 연령대가 다양한 배우 13명은 표정과 몸짓만으로 뚜렷한 인상을 남긴다. 전화기, 사진기, 우산, 채찍, 깃발, 총 등 다양한 오브제(상징적 소품)도 활용된다. 관객들이 무대를 가운데 두고 마주보고 앉는 구조로 공연 중간중간 빛이 비출 때마다 다른 관객의 표정과 반응을 관찰할 수 있는 것도 또 다른 재미다.
김 전 원장은 1970~1980년대 미국의 실험극을 국내에 거의 처음 들여왔다. 이 작품도 앞서 1981년에 공연한 적이 있다. 당시 낯선 형식에 당혹해하는 관객이 많았다고 한다. 이번 개막일 공연장 로비에서 만난 김 전 원장은 "과거에는 낯설어하는 관객들이 많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실험극을 공연 자체로 즐기고 재밌어하는 관객이 늘어나고 있는 듯하다"고 말했다.
이 연극은 연극 그 자체로 즐길 수 있는 작품이다. 일종의 문학처럼 어떤 줄거리나 메시지를 찾지 않아도 된다. 종합적인 공연 예술로서의 연극, 독특하고 새로움을 경험하고 싶은 관객에게 추천한다.
공연은 오는 8월 27일까지.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