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일본 정상이 지난 18일 정상회의를 통해 안보와 경제 등 전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기로 하면서 중국과 러시아, 북한 등이 거세게 반발할 가능성이 커졌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채택한 공동성명에 중국을 국제질서를 저해하는 주체로 직접 명시하자 중국 측은 곧바로 입장을 내놨다.

중국 관영매체인 신화통신은 20일 논평을 내고 “한·미·일 3개국이 안보협력이라는 구실 아래 배타적인 지정학적 파벌을 형성하려 하고 있다”며 “이는 냉전의 망령을 되살릴 수 있는 위험한 도박”이라고 주장했다. 이 통신은 미국을 “특정 국가의 취약성을 활용해 안보 불안을 조장하려는, 양의 탈을 쓴 늑대”라고 표현했다. 중국 관영지 환구시보도 사설에서 한국을 “선생님(미국)에게 스티커를 받는 유치원생”이라며 원색적으로 비난했다.

한반도 문제 전문가인 뤼차오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새로운 냉전의 신호탄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과학, 기술, 공급망 등에 관한 협력 논의는 한국 경제에 매우 큰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3국이 과학·기술 분야에서 진퇴를 같이할 경우 한국 손실이 가장 클 것이며, 한국 정부는 이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한·미·일 정상회의 직후인 지난 19일 대만해협에서 대규모 군사 훈련에 나서기도 했다. 표면적으로는 대만 집권 민진당의 총통 후보인 라이칭더 부총통이 미국을 방문한 것에 항의한 훈련이었지만, 3개국 정상회의에 대한 불만을 우회적으로 표출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20일부터는 서해 북부 보하이해협에서 군사훈련을 하기로 했다. 한반도와 가까운 지역이라는 점에서 역시 3국 정상회의에 대한 대응으로 분석된다.

한·미·일 정상은 공동성명을 통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을 공개적으로 비판했고,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 포기를 촉구했다. 3자 합동훈련도 매년 정례적으로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3개국 정상회의를 기점으로 한·미·일 대 북·중·러의 대치 구도가 더욱 선명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는 이유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