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유통시장에서 ‘직거래’가 대세로 굳어지고 있다. 중간에 도매시장 중도매인이 끼는 농산물 유통의 전통적 프로세스가 산지에서 곧장 일선 마트나 e커머스로 연결되는 형태로 확 바뀌는 추세다.

농산물은 인플레이션, 산지 농민 초고령화, 이상기후 등의 악재가 겹겹이 쌓여 생산 단계에서 고비용 구조가 만성화할 조짐을 보인다. 직거래 역량을 키워 유통 과정에서 가격 거품을 빼지 않으면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는 게 유통업계의 시각이다.

11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생산자(농민) 단체인 지역 농협이 대형 유통업체에 농산물을 직접 판매한 비율은 2003년 10.4%에서 2021년 39.6%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도매법인에 판 비중은 77.3%에서 43.7%로 쪼그라들었다.

주요 마트와 e커머스로 범위를 좁혀보면, 직거래 비중은 80%를 넘어섰다. 한국경제신문이 주요 업체 다섯 곳(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컬리 SSG닷컴)의 신선식품 산지 직거래 비중을 분석한 결과 평균치가 2020년 76.5%에서 지난해 81.7%로 뛰었다.

농산물 직거래는 원래 소비자가 산지에서 직접 구매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런 거래 방식은 극히 드물다. 이에 따라 농촌경제연구원 등 연구기관과 업계는 유통업체가 도매시장 중도매인을 거치지 않고 산지에서 직접 소싱하는 것도 직거래로 간주한다.

농산물 직거래가 확산한 데엔 코로나19 사태를 기점으로 온라인 유통이 대세가 된 게 결정적 계기로 작용했다. 컬리 쿠팡 등 e커머스가 신선식품 분야에서 대형마트와 경쟁하기 위해 산지 발굴과 빠른 배송에 적극적으로 나선 게 온·오프라인 업체 간 경쟁을 촉발했다.

대형마트도 물류를 업그레이드해 e커머스의 공세에 맞서고 있다. 산지에서 농산물을 직접 매입해 선별·포장센터로 들여오는 이마트가 대표적이다. 양석준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신선식품 시장에서 도매시장과 중도매인의 영향력이 갈수록 약해지고 있다”며 “지금은 유통사가 농민들과 협업해 상품을 기획·생산하는 소비자 중심의 시대”라고 말했다.

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