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누부 나이지리아 대통령 측근, 니제르 쿠데타 지도자 만나
니제르 군부 과도정부 인선 발표…바줌 대통령 복권 거부 재확인
서아프리카공동체 긴급정상회의…"니제르 사태 외교해법이 우선"(종합)
서아프리카 지역 15개국의 연합체인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가 니제르 사태 해결을 위한 외교적 해법을 강조했다.

군사정변(쿠데타)을 일으킨 니제르 군부에 군사 개입 가능성까지 경고했던 ECOWAS가 두 번째로 연 긴급 정상회의에서 한발 물러서는 모양새다.

ECOWAS 의장인 볼라 티누부 나이지리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니제르의 헌정 질서 회복을 위해서는 쿠데타 지도부와 대화를 포함해 모든 외교적 해법을 시도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티누부 대통령은 이날 오후 수도 아부자에서 열린 긴급 정상회의 모두발언에서 이같이 밝히고 "민주주의와 인권, 니제르 국민의 안녕을 보장하는 데 있어 외교 협상과 대화를 해법의 기반으로 우선시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니제르 사태는 서아프리카 지역은 물론 아프리카 대륙 전체의 안정을 해치는 요인이라고 지적하면서 "모하메드 바줌 대통령의 복권 시한으로 1주일을 제시했지만 아쉽게도 소기의 결과를 얻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헌정 질서 회복을 통한 니제르의 평화와 안정, 번영을 위한 개입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아프리카공동체 긴급정상회의…"니제르 사태 외교해법이 우선"(종합)
ECOWAS는 지난달 30일 첫 긴급 정상회의에서 니제르 군부에 대한 제재를 결의했고, 지난 2∼4일에는 국방 수장 회의를 열고 병력 배치 방법과 시기 등을 담은 잠재적 군사 개입 계획안을 마련한 바 있다.

그러나 의장인 티누부 대통령이 이날 모두발언에서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당장 군사 개입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니제르 쿠데타 주체인 이른바 '조국수호국민회의'(CNSP)는 앞서 과도 정부 인선을 발표하며 ECOWAS의 바줌 대통령 복권 요구에 대한 거부 의사를 재차 확인했다.

'정부 사무총장'으로 소개된 마하마네 루파이 라우알리는 간밤 국영 TV에서 과도 정부 각료 21명의 명단을 발표하며 안보와 치안 부처는 군 인사가 맡게 됐다고 밝혔다.

살리푸 모디 장군을 비롯한 쿠데타 지도부 3명이 국방·내무·체육부 장관으로 임명됐다.

지난 9일 임명된 알리 마하만 라민 제인 총리는 재무장관을 겸임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쿠데타 이전 니제르 정부의 장관 43명 중 군인은 한 명도 없었다.

니제르 군부는 앞서 지난 8일에도 ECOWAS와 아프리카연합(AU), 유엔 대표단의 입국을 거부하는 등 국제사회의 헌정 질서 회복 요구에 완강한 태도를 이어가고 있다.

서아프리카공동체 긴급정상회의…"니제르 사태 외교해법이 우선"(종합)
다만, 나이지리아 북부 도시 카노의 지도자였던 사누시 라미도 사누시가 전날 니제르 수도 니아메에서 쿠데타 지도자 압두라흐마네 티아니 대통령 경호실장을 만났다고 AFP 통신이 전했다.

티누부 대통령과 가까운 사이로 알려진 그는 나이지리아 국영 TV에서 "티누부 대통령에게 (티아니 실장의) 메시지를 전달할 것"이라고 말하며 대화를 통한 사태 해결에 대한 실낱같은 희망의 불씨를 살렸다.

세계 최빈국 중 하나인 니제르에서는 지난달 26일 티아니 경호실장이 이끄는 군부 세력이 바줌 대통령을 억류하고 쿠데타를 감행한 뒤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니제르 쿠데타는 내부 권력 다툼으로 촉발됐으나 ECOWAS의 군사 개입 가능성 경고에 말리와 부르키나파소 군정이 쿠데타 군부 지지 입장을 천명하면서 지역 분쟁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 미국과 프랑스 등 서방은 ECOWAS의 사태 회복을 위한 노력을 전적으로 지지하는 입장이지만, 러시아와 중국은 외세의 개입이 사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ECOWAS가 군사 개입에 나설 경우 분쟁이 인접국은 물론 미국을 비롯한 서방 대 러시아·중국의 대결 구도로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서아프리카공동체 긴급정상회의…"니제르 사태 외교해법이 우선"(종합)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