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방사능오염수 두배 빠르게 측정'…UST, 기술·장비 개발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결정 이후 해양 방사능 감시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해수 방사능을 두 배 빠르고 간편·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장비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9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UST)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 스쿨 김현철 교수·김가현 석사과정 연구팀에 따르면 원자력 환경 평가를 위한 주요 감시 핵종 가운데 하나인 스트론튬-90(90Sr) 분석은 해로운 화학약품 사용, 분석소요 시간 3주 이상, 분석자 역량에 따른 정확도 변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구팀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이트륨-90(90Y)을 측정하는 간접 확인법을 고안했다.

스트론튬-90은 시간이 지나면 이트륨-90으로 변하는데 20일이 지나면 두 물질의 방사능 수치가 같아진다.

연구팀은 이 특성에 착안해 이트륨-90을 흡착하는 수지(resin)와 자체적으로 개발한 자동 핵종 분리장치(KXT-H)를 이용해 이트륨-90으로 스트론튬-90의 방사능 수치를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2021년 발표했다.

이는 기존 분석법보다 소요 시간을 10분의 1로 단축해 주목받았다.

김가현 석사과정은 이번에 자체 개발한 대용량 해수 전처리 장비를 활용해 2021년 분석기술보다 시료 처리능력을 2배 향상해 소요 시간을 2분의 1로 단축했다.

투입 해수에서 이트륨-90 회수율도 90% 수준으로 개선했다.

이 기술은 지난해 한 기업에 기술이전 됐고, 올해 'SALT-100'이라는 장비로 상용화됐다.

SALT-100은 현재 한국수력원자력 한빛발전소, 경북대, 한국원자력환경공단(KORAD) 등 3개 기관에 납품됐다.

이번에 개발한 분석법과 장비를 이용할 경우 해수 50ℓ를 기준으로 3시간 이내 전처리 과정을 거치면 다음 날 스트론튬-90의 방사능 결괏값을 얻을 수 있다.

김가현 학생은 "오염수 해양 방류 이슈로 방사능의 과학적 측정과 대응이 중요해지는 가운데 문제 해결에 보탬이 되는 연구성과를 발표하게 됐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