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어대시, 우버이츠, 인스타카트 등 미국 대형 음식 배달앱이 인공지능(AI) 챗봇 도입을 준비 중이다. ‘터치’ 대신 ‘채팅’으로 음식을 주문하기를 원하는 고객이 많다고 판단해서다.

6일(현지시간)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최대 배달앱인 도어대시는 아이폰 앱을 통해 ‘대시 AI’라는 기능을 테스트하고 있다. ‘근처에서 저렴한 가격에 저녁 식사할 수 있는 식당을 추천해달라’ ‘샐러드 만족도가 좋은 햄버거 배달 가게를 알려달라’ 등의 내용으로 챗봇과 대화를 나누며 식당을 추천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앱 내에서 적절한 음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기능도 장착할 것으로 알려졌다. 도어대시는 미국 음식 배달 시장의 65%를 점유하고 있다.

음식 배달앱 우버이츠를 운영하는 우버도 AI 챗봇을 개발 중이다. 다라 코스로샤히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우버 앱에 적용할 AI 기반 챗봇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챗봇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다.

지난 5월 미국 최대 신선식품 배달업체인 인스타카트는 챗GPT를 자사 앱에 적용했다. 챗봇 ‘애스크 인스타카트’는 사용자가 어떤 요리의 레시피를 물어보면 답변해주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필요한 재료를 확인해 구매할 수 있다.

업계에선 AI 챗봇의 기능과 만족도가 배달앱의 경쟁력을 결정할 핵심 요인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배달앱업계에도 AI 챗봇을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실리콘밸리=최진석 특파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