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C그룹의 계열사이자 국내 대표 종합악기문화기업인 HDC영창(대표이사 김병철)이 국내 최대 장학금 규모의 단독 음악 콩쿠르인 ‘포니정재단과 함께하는 제8회 HDC영창콩쿠르’(이하 HDC영창콩쿠르)를 연다고 4일 밝혔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하는 HDC영창콩쿠르는 코로나 시국으로 인하여 3년 만에 진행되는 행사로 클래식의 대중화와 젊은 음악 인재 발굴을 지향하는 순수 장학사업이다. 9월 7일과 8일 서울 SSC 선 아트홀에서 클라리넷 부문이, 12일부터 14일까지 상명아트센터 대신홀에서 피아노 부문이 나누어 진행된다.
포니정재단의 후원으로 피아노 전체 대상 1000만원, 클라리넷 전체 대상 300만원 등 총 4000만원에 달하는 장학금이 지급되며, 초등부·중등부·고등부·일반부 4개 부문별로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을 시상한다.
ADVERTISEMENT
특히 피아노 부문에서는 중국 국가예선을 통해 선발된 참가자들이 한국 본선에 참가하여 한국의 음악 인재들과 경연을 펼치게 된다. HDC영창콩쿠르는 단순한 클래식 콩쿠르를 넘어 젊은 음악인들에게 음악적 교류와 국제 콩쿠르의 경험을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상호 발전을 도모하는 글로벌 클래식 음악 축제를 지향하고 있다.
본선에서는 최고 수준의 심사위원단이 구성되어 엄정한 심사를 진행할 예정이고, 심사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위하여 모든 경연은 무료로 공개하여 관람을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참관할 수 있다.
HDC영창 콩쿠르 관계자는 “'미래는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도전하고 개척하는 것’이라는 故 정세영 명예회장의 원칙과 소신처럼 젊고 재능 있는 음악인들의 많은 참여와 도전을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에 있는 백악관에서 3일부터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 관세가 적용되며, 여기에 더해 각 국별 맞춤형 상호관세를 적용한다고 밝혔다.트럼프 대통령은 이자리에서 “우리는 그들(상대 국가)이 우리에게 부과하고 있는 것의 대략 절반 정도를 (관세로) 부과할 것”이라며 “그래서 완전한 상호관세는 아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각 국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와 미국이 이에 대응해 부과할 상호관세를 적은 대형 차트를 보여줬다. 그는 “중국엔 34%, 일본엔 24%, 한국엔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기본관세가 적용되면 중국은 44%, 일본은 34%, 한국은 35%의 관세를 적용받는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 부과 발표에 따라 미국 주요 주가지수에 연동된 ETF들이 시간외 거래에서 급락했다. SPDR S&P 500 ETF 트러스트*는 2.2%, Invesco QQQ 트러스트는 3% 하락했다.백악관은 모든 국가에 대해 10%의 기본 관세율을 4월 5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뉴욕=박신영 특파원 nyusos@hankyung.com
[한경ESG]- 러닝매년 3월 22일은 물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물 부족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유엔(UN)이 지정한 ‘세계 물의 날’이다. 올해 세계 물의 날의 주제는 ‘빙하 보존(Glacier Preservation)’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빠르게 녹아내리는 빙하와 이로 인한 수자원 부족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한다.유엔은 기후변화가 전 세계의 물 순환 문제를 더욱 심화시키고, 나아가 홍수·가뭄·산사태·해수면 상승 등을 초래해 지역사회와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우리나라 국민이 최근 몇 년 동안 경험한 기록적인 폭염이나 한파만 봐도 먼 나라의 일이 아님을 알 수 있다.물은 인류에게 필수적인 자원이지만, 누구나 안정적으로 누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2024년 유엔 세계 물 개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4분의 1은 ‘매우 높은’ 수준의 물 스트레스에 직면했으며, 연간 담수 공급량의 80% 이상을 재사용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환경 전망 2050 보고서’는 한국이 2050년 평가 대상 24개국 중 물 스트레스 지수가 가장 높은 국가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물 스트레스란 특정 지역에서 이용 가능한 수자원에 비해 수요가 과도해 물 부족 현상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이렇듯 물 공급이 부족한 반면, 물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 특히 ‘목마른 산업’으로 불리는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첨단산업에서는 막대한 양의 물을 필요로 한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레이팅스는 생산 규모 확장과 첨단 공정 기술 발전으로 인해 반도체 산업의 물 소비가 매년 5∼10%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 반도체 제조업체는
[한경ESG] - ESG 핫 종목 LG전자가 미래성장동력으로 인공지능(AI)과 양자컴퓨팅을 선택했다.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가 방한해 LG전자와 AI 및 양자컴퓨팅 협력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LG전자는 기존 가전사업 경쟁력을 유지하면서 미래 기술을 활용한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여기에 글로벌 시장에서 AI 스마트팩토리, 냉난방 공조사업(HVAC) 등을 확대하면서 LG전자의 미래 성장성이 부각되는 국면이다. 양자컴퓨터·AI 데이터센터 두각양자컴퓨터는 기존 컴퓨터와는 차원이 다른 연산 속도를 제공하는 차세대 기술이다. 현재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디웨이브의 양자컴퓨터는 기존 슈퍼컴퓨터보다 90만 배 빠른 연산 속도를 보이는데 의료, 금융, 반도체, 기후변화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다. LG전자는 IBM, MS 등과 협력해 양자컴퓨팅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특히 AI 반도체 설계 인력을 600명 이상 확보한 LG전자의 SoC(System on Chip) 센터는 양자컴퓨팅과 AI 반도체 개발을 연계한 차세대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또 MS가 최근 공개한 양자컴퓨팅 칩 ‘마요나라 1(Majonara 1)’과 협업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투자자들의 기대를 모은다.양자컴퓨팅은 아직 먼 이야기라는 반론도 있지만, 결국 주식시장에는 미래가치가 점차 반영될 전망이다. 각국이 양자컴퓨팅에 대한 투자를 경쟁적으로 늘리는 가운데 LG전자가 국내 기업 중 양자컴퓨팅에 선도적으로 나서는 건 주목할 만한 일이다. 양자컴퓨팅보다 근미래엔 AI를 활용한 스마트팩토리 사업이 있다. AI 플랫폼을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