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복합재 점프-업 파트너십' 발족…우주항공 분야부터 연내 로드맵
우주발사체 쓰이는 탄소복합재 개발, 기업·연구기관 '맞손'
우주발사체 등에 쓰이는 탄소섬유 같은 탄소복합재 개발 역량을 키우기 위해 정부, 수요·공급 기업, 연구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가 구성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서울 켄싱턴호텔에서 장영진 산업부 1차관, 탄소 복합재 공급·수요 기업 및 연구기관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탄소복합재 점프-업 파트너십'을 발족했다고 밝혔다.

수요 기업으로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대한항공, 이노스페이스, 밥스, JPI 헬스케어 등이, 공급 기업으로는 효성 첨단소재, 포스코퓨처엠, 제이오, 참그래핀 등이 참여했다.

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재료연구원 등 연구기관도 파트너십에 합류했다.

탄소복합재는 탄소섬유, 활성탄소, 인조흑연, 탄소나노튜브(CNT) 등 가볍고 강도가 높은 물리적 특성을 갖는 소재다.

이 중 탄소섬유는 도심항공교통(UAM), 우주발사체 등에 쓰이고, 탄소나노튜브는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의 핵심 소재로 활용된다.

파트너십을 통해 탄소복합재 수요 기업은 향후 수년간 개발할 제품과 개발 일정을 공유하고, 공급 기업은 이 같은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제품에 필요한 소재와 부품을 개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 우주항공 분야 탄소복합재 분야부터 올해 안에 기술개발 종합 로드맵을 만드는 방안이 추진된다.

장영진 1차관은 "탄소복합재의 성장성 및 첨단산업 파급 효과를 고려할 때 민·관 역량을 모아 대응해야 한다"며 "정부는 고성능 탄소복합재 기술 개발, 인프라 구축과 함께 각종 규제·애로를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