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수 감소 우려에' 강원도, 폐도 등 미활용 재산 매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향후 10년간 1천200억원 규모…긴축재정 국면 극복"
강원도가 지방세수 감소로 인한 재정난을 우려해 폐도 등 미활용 도로 재산을 적극 매각하기로 했다.
12일 강원도에 따르면 내년 12월까지 폐도 등 미활용 재산과 무단 점유 추정 재산을 대상으로 정밀 현황 조사를 실시, 선별적 매각 등을 통해 세수를 확보할 계획이다.
조사 대상은 전년도 실시한 도로재산 전수 실태조사 결과 발견된 폐도 등 도로 목적 상실 재산, 주거 및 경작용 등 무단 점유 추정 재산 등 약 7천 300필지다.
도는 이달부터 필지별 현장 조사와 현황 측량, 점유자 탐문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미활용 도로 재산 중 행정 목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작지만 민간이 매입 시 토지 가치 상승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재산은 매각하고, 무단으로 점유한 재산은 자진 신고를 유도해 사용·수익 허가 및 매각 등을 우선 실시하기로 했다.
도는 이번 정밀 조사를 통해 매각할 미활용 도로 재산 규모는 향후 10년간 약 2천 필지, 추정가액은 1천2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무단 점유 재산 양성화에 따른 사용료는 연간 1억원 이상을 징수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도 관계자는 "사실상 도로로 활용이 불가능한 잔여지 등을 적극적으로 매각해 세수 부족에 따른 긴축재정 국면을 극복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12일 강원도에 따르면 내년 12월까지 폐도 등 미활용 재산과 무단 점유 추정 재산을 대상으로 정밀 현황 조사를 실시, 선별적 매각 등을 통해 세수를 확보할 계획이다.
ADVERTISEMENT
도는 이달부터 필지별 현장 조사와 현황 측량, 점유자 탐문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미활용 도로 재산 중 행정 목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작지만 민간이 매입 시 토지 가치 상승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재산은 매각하고, 무단으로 점유한 재산은 자진 신고를 유도해 사용·수익 허가 및 매각 등을 우선 실시하기로 했다.
ADVERTISEMENT
무단 점유 재산 양성화에 따른 사용료는 연간 1억원 이상을 징수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도 관계자는 "사실상 도로로 활용이 불가능한 잔여지 등을 적극적으로 매각해 세수 부족에 따른 긴축재정 국면을 극복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