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노동시민사회단체 "대중교통 요금 인상 철회해야"
부산시가 대중교통 요금 인상을 추진 중인 가운데 부산지역 노동시민사회단체가 인상안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부산공공성연대, 민주노총부산본부, 공공운수노조부산본부, 철도노조부산지방본부, 부산지하철노조는 11일 오전 부산시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택시 요금 인상에 이어 대중교통 요금 인상이 도미노처럼 이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운송 원가의 지속적인 상승과 이용 승객 감소는 지자체와 정부의 정책 실패 때문이고, 업계의 요금 인상 요구는 운송업자들의 배를 더 불리겠다는 탐욕"이라며 "급등하는 물가 속에서 시민의 삶은 가파르게 피폐해져 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정책 실패와 관련해 초고령화 사회 진입으로 지하철과 광역철도 무임승차 증가, 무분별한 건설 중심 교통 정책에 따른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 정체, 고속철도 분리로 인한 연간 600억원의 손실 등을 예로 들었다.

이어 "대중교통은 비용과 수익자 부담 원칙이라는 시장의 논리와 관점이 아닌 사회적 편익과 시민 권리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교통 수요에 맞춘 적절한 요금 정책 도입 등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정책 전환을 당부했다.

시는 성인 기준 시내버스 요금을 400원 인상하고, 도시철도와 부산-김해 경전철 요금을 300∼400원 인상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이는 시민 의견수렴 절차와 교통혁신위원회 및 물가대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인상 폭을 확정한 뒤 오는 9∼10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부산 시내버스 요금은 2013년 11월 이후 10년 만에, 도시철도 요금은 2017년 5월 이후 6년 만에 각각 인상되는 것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