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작구 중앙대학교 인근 주민 알림판에 하숙 및 원룸 공고가 붙어 있다. 사진=최혁 기자
서울 동작구 중앙대학교 인근 주민 알림판에 하숙 및 원룸 공고가 붙어 있다. 사진=최혁 기자
1인 가구의 10명 중 7명이 월세 거주자이며 월 소득 가운데 가장 큰 지출 항목은 '주거비'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1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을 운영하는 스테이션3이 자사 앱 이용자 832명을 대상으로 주거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45%(376명)가 1인 가구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1인 가구라고 답한 응답자의 연령은 30대가 34%로 가장 많았고, 20대(29%), 40대(27%) 순이었다. 이들의 거주지 거래 형태를 보면 월세가 68%로 전세(27%)보다 월등히 높았다. 거주 형태는 원룸(52%), 투·쓰리룸(24%), 오피스텔·도시형 생활주택(15%), 아파트(8%) 순이었다.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이 40%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22%),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15%) 순으로 집계됐다.

월 소득에서 가장 큰 지출 항목으로 응답자의 절반가량인 48.1%가 '주거비'(전·월세·공과금)를 지목했다. 이어 '식료품 구입'(19.1%), '외식비'(13%) 순으로 조사됐다. 월 소득 중 주거비 지출 비중에 대해 39%는 '10% 이상∼20% 미만', 38%는 '20% 이상∼30% 미만'이라고 밝혔다.

월 소득 대비 희망 월세 지출 비중에 대해 응답자의 71%가 '10% 이상∼20% 미만'을 선택해 현실과 괴리를 나타냈다. 23%는 '20% 이상∼30% 미만'이라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3∼19일 실시됐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