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NS 검토팀, 279페이지 분량 보고서 통해 "방류해도 우리에 영향 없다" 결론
ALPS 성능·필수검사 핵종·농도측정 역량·재난대비·영향평가 등 모두 체크
"ALPS 성능 2019년 이후 이상무…삼중수소 희석 위한 해수 공급 충분"
설비 고장시 해양 방출 방지시스템도 확인…유국희 "검토팀 유지하고 계속 확인"
"가장 보수적 관점서 최악사례 활용 평가"…후쿠시마팀 평가 근거는?
정부가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계획의 안전성을 검토한 결과 도쿄전력의 오염수 처리계획이 지켜진다면 배출기준에 적합하며 국제원자력기구(IAEA) 기준을 비롯한 국제기준에도 부합한다는 판단을 7일 내놨다.

지난 2021년 8월부터 원자력안전위원회 산하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내 검토팀이 분석해 내린 결론이다.

이는 최근 IAEA가 발표한 종합보고서의 판단과도 대동소이하다.

진행 과정과 구체적 검토 결과 등을 담은 279쪽 분량 보고서에 따르면 검토팀은 크게 오염수 내 핵종을 제거하는 다핵종제거설비(ALPS) 성능이 2019년 이후 배출 기준치 이내로 정화할 수 있음을 확인한 점, 해수가 충분히 공급돼 삼중수소 농도가 배출 목표치 이하로 배출되는 점, ALPS가 고장 나더라도 해양으로 바로 방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한 만큼 문제가 없다고 봤다.

우선 삼중수소를 제외한 핵종의 정화 능력을 살피기 위해 검토팀은 핵종 선정이 제대로 이뤄졌는지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핵연료 내 존재하는 핵종에 관한 기존 자료들을 분석해 삼중수소, 스트론튬-90 등 살펴봐야 할 19개 핵종을 도출했는데, 이는 도쿄전력이 방출 전 정밀 분석해 공개할 69개 핵종에 포함되어 있다는 게 검토팀의 설명이다.

KINS가 참여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오염수 농도 교차분석에서도 30개 핵종에 추가될만한 핵종은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

"가장 보수적 관점서 최악사례 활용 평가"…후쿠시마팀 평가 근거는?
ALPS의 정화 능력에 대해서도 흡착재 교체가 잘 이뤄지고 안정화된 2019년 5월 이후부터는 배출기준을 만족하는 등 문제가 없다고 봤다.

또 ALPS 처리 후 배출기준을 초과한 오염수를 다시 정화한 2020년 사례에서도 배출기준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검토팀은 밝혔다.

일본은 배출 기준에 만족할 때까지 ALPS로 여러 차례 거른다는 계획인 만큼 이것이 실제로 가능할지를 확인했다는 것이다.

ALPS를 구성하는 여러 흡착재 성능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검토팀은 설명했다.

특히 여러 핵종을 정화하는 데 쓰는 아이오딘(I), 안티몬(Sb) 흡착재는 주기적 교체가 필요한데 일본이 8천t마다 교체하기로 한 점을 확인했다.

"가장 보수적 관점서 최악사례 활용 평가"…후쿠시마팀 평가 근거는?
주요 점검 사항으로 지적됐던 ALPS의 장기간 운영도 문제가 없다고 봤다.

지금까지 두 차례 고장이 난 경우 재발 조치를 취했고, 고장 상태로 가동해 배출기준을 넘긴 오염수가 발생하면 해양 방출이 이뤄지지 않는 것도 확인했다고 검토팀은 설명했다.

방출 전 핵종 농도 측정 과정도 적절하다고 검토팀은 밝혔다.

방출 전 69개 핵종 농도를 측정하는 K4 탱크의 균질화 과정을 보기 위해 도쿄전력이 지난해 자체 실시한 실험 결과를 통계처리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문제가 없다고 본 것이다.

K4 탱크는 최종 방류 전 오염수를 저장하는 장치로 30개 탱크를 10개씩 묶어 균일하게 섞은 후 방출 전 농도를 측정한다.

도쿄전력 실험 자료에서 다른 핵종 농도를 분석했을 때도 균질화가 잘 이뤄진다고 검토팀은 판단했다.

ALPS로 걸러지지 않는 삼중수소를 희석하기 위한 해수 공급능력도 충분한 것으로 평가됐다.

보수적 평가를 위해 삼중수소를 최대 농도인 ℓ당 100만㏃, 최대 배출량 하루 500t을 기준으로 계산했을 때, 해수를 희석한 후 오염수 삼중수소 농도는 ℓ당 1천468㏃로 배출목표치인 1천500㏃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검토팀은 밝혔다.

또 농도에 따라 오염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희석용 해수 방사능 감시 시스템도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지진과 같은 이상 상황 대비책도 문제가 없다고 봤다.

해양 방출 중 문제가 발생했을 때 긴급 차단을 위해 구동 방식이 다른 긴급차단밸브 2개를 설치했고, 전후단 수동 차단밸브를 추가 설치하는 등 이중화 조치가 이뤄졌다고 판단했다.

또 해양 방출 전 과정에 있어 단계별로 측정하고 감시하는 계획이 수립된 것도 확인했다고 검토팀은 설명했다.

"가장 보수적 관점서 최악사례 활용 평가"…후쿠시마팀 평가 근거는?
핵종 농도 분석 역량에서는 IAEA 요건에 따라 분석에 필요한 인력과 조직, 장비, 절차 등이 적합하게 마련됐다고 검토팀은 판단했다.

시찰단이 방문해서 현장에서 무작위로 선정한 측정값과 도쿄전력이 공개 중인 값을 비교했을 때도 일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수 방출이 주변 주민 등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방사선영향평가도 적절한 것으로 평가됐다.

일본이 이런 배출 기준을 모두 만족한다고 하면 앞서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진행한 오염수 국내 유입 시뮬레이션에 따라 제주도 남동쪽 지역 100km 지점에서 10년 후 리터당 0.000001㏃ 내외 방사성 물질이 도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국내 해역 평균 삼중수소 농도의 10만분의 1 수준이다.

"가장 보수적 관점서 최악사례 활용 평가"…후쿠시마팀 평가 근거는?
만약 후쿠시마 원전 내 K4 탱크가 망가져 오염수 3만t이 누출된다 해도 후쿠시마 인근 주민 예상 피폭선량은 일반인 연간 선량한도인 1밀리시버트(mSv)의 100분의 1 수준이라고 검토팀은 설명했다.

유국희 원안위원장은 "IAEA와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가 제시하는 국제기준에 부합하는지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검토했다"며 "평가하는 과정에서 가장 보수적인 관점에서 가장 나쁜 사례 데이터를 활용해서 평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유 위원장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기술검토팀은 계속 유지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나올 수 있는 과학기술적인 변경 사항이나 지속해 확인해야 할 부분에 대해서는 검토를 이어가고, 또 확인 작업도 계속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