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수 확산 시뮬레이션 신뢰할만해…지속적 감시는 필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해양학회 심포지엄…정확한 정보 투명히 공개돼야"
해양 전문가들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방사성 물질이 상당히 희석된 상태로 수년 뒤 한국 해역에 유입될 것이라는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해 '신뢰할만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이들 전문가는 계획대로 방출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등에 대비해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는 데 입을 모았다.
한국해양학회는 5일 '후쿠시마 원전 방류수 확산에 대한 과학적 이해' 심포지엄을 열었다.
김규범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심포지엄 발표를 통해 "해수에 존재하는 자연방사능과 인공방사성 핵종의 배경농도와 비교를 하지 않아 배경농도보다 수천만 배 낮은 농도가 문제가 있는 것처럼 과장되고 있다"고 말했다.
배경농도는 인위적 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양은 제외하고 자연 배출원과 장거리 수송에 의해 유입된 양을 포함한 농도를 뜻한다.
그러면서 "아주 낮은 농도임에도 특정 기원만을 두려워하고 있다"며 "오히려 이미 인체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된 공기 중 라돈과 흡연을 통한 폴로늄210 흡입을 줄이는 게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경태 오셔닉 해양환경연구소장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나온 3개의 북태평양 삼중수소 확산 모델을 두고 "일본의 계획대로 오염수 방류가 이뤄지면 10년 후 계산되는 제주도 주변 삼중수소 농도는 배경농도의 10만분의 1 수준"이라며 "3개 모델 결과 모두에서 사실상 우리나라 주변 해수에 영향이 없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삼중수소는 오염수에 가장 많이 포함된 방사성 핵종으로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제거되지 않아 문제가 된다.
가장 최근 연구 결과인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방출된 오염수 중 삼중수소는 10년 후 우리 바다의 평상시 삼중수소 농도의 약 10만분의 1 수준인 0.001Bq/㎥(세제곱미터당 베크렐) 내외에 도달한다
그보다 앞서 2021년 중국 제1해양연구소와 지난해 칭화대에서 발표한 오염수 확산 시뮬레이션 결과도 유사했다.
조양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2011∼2020년 약 10년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유출된 세슘137이 수심에 따라 어떤 식으로 퍼졌는지 분석한 본인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조 교수는 "현재 배경 세슘137 농도의 1%인 0.01Bq/㎥를 기준으로 보면 표층과 아표층을 통해 각각 10년과 9년 후 국내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됐다"며 "계획된 방류로 인한 삼중수소의 확산 경로와 시간도 세슘과 유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표층은 수심 0∼200m 구간, 아표층은 200∼500m 구간을 말한다.
다만 전문가들은 시뮬레이션은 일본이 원전 오염수 방류를 계획대로 시행했을 경우를 가정한 것이라며 지속적인 감시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국민 불안 해소와 정확한 시뮬레이션을 위해서 후쿠시마 앞바다의 방사성 물질의 종류, 양, 농도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 소장도 "장기간에 걸쳐 방류가 진행되므로 계획대로 방출이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며 "돌발 사고 발생에 대한 지속적 감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신형철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후쿠시마 원전에 아주 가까운 구역을 제외하면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기인한 생태계의 방사능 오염이 관측된 경우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먹이그물 내 방사능 농축과 위험성에 대해 모델링을 활용해 평가한 해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도 설명했다.
/연합뉴스
다만 이들 전문가는 계획대로 방출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등에 대비해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는 데 입을 모았다.
한국해양학회는 5일 '후쿠시마 원전 방류수 확산에 대한 과학적 이해' 심포지엄을 열었다.
김규범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심포지엄 발표를 통해 "해수에 존재하는 자연방사능과 인공방사성 핵종의 배경농도와 비교를 하지 않아 배경농도보다 수천만 배 낮은 농도가 문제가 있는 것처럼 과장되고 있다"고 말했다.
배경농도는 인위적 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양은 제외하고 자연 배출원과 장거리 수송에 의해 유입된 양을 포함한 농도를 뜻한다.
그러면서 "아주 낮은 농도임에도 특정 기원만을 두려워하고 있다"며 "오히려 이미 인체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된 공기 중 라돈과 흡연을 통한 폴로늄210 흡입을 줄이는 게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경태 오셔닉 해양환경연구소장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나온 3개의 북태평양 삼중수소 확산 모델을 두고 "일본의 계획대로 오염수 방류가 이뤄지면 10년 후 계산되는 제주도 주변 삼중수소 농도는 배경농도의 10만분의 1 수준"이라며 "3개 모델 결과 모두에서 사실상 우리나라 주변 해수에 영향이 없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삼중수소는 오염수에 가장 많이 포함된 방사성 핵종으로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제거되지 않아 문제가 된다.
가장 최근 연구 결과인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과 한국원자력연구원(KAERI)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방출된 오염수 중 삼중수소는 10년 후 우리 바다의 평상시 삼중수소 농도의 약 10만분의 1 수준인 0.001Bq/㎥(세제곱미터당 베크렐) 내외에 도달한다
그보다 앞서 2021년 중국 제1해양연구소와 지난해 칭화대에서 발표한 오염수 확산 시뮬레이션 결과도 유사했다.
조양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2011∼2020년 약 10년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유출된 세슘137이 수심에 따라 어떤 식으로 퍼졌는지 분석한 본인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조 교수는 "현재 배경 세슘137 농도의 1%인 0.01Bq/㎥를 기준으로 보면 표층과 아표층을 통해 각각 10년과 9년 후 국내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됐다"며 "계획된 방류로 인한 삼중수소의 확산 경로와 시간도 세슘과 유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표층은 수심 0∼200m 구간, 아표층은 200∼500m 구간을 말한다.
다만 전문가들은 시뮬레이션은 일본이 원전 오염수 방류를 계획대로 시행했을 경우를 가정한 것이라며 지속적인 감시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국민 불안 해소와 정확한 시뮬레이션을 위해서 후쿠시마 앞바다의 방사성 물질의 종류, 양, 농도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 소장도 "장기간에 걸쳐 방류가 진행되므로 계획대로 방출이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며 "돌발 사고 발생에 대한 지속적 감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신형철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후쿠시마 원전에 아주 가까운 구역을 제외하면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기인한 생태계의 방사능 오염이 관측된 경우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먹이그물 내 방사능 농축과 위험성에 대해 모델링을 활용해 평가한 해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도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