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김범준 기자
사진=김범준 기자
연체율 급등으로 비상이 걸린 새마을금고의 방만경영과 관리부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임원이 전체 직원의 절반에 육박하는 왜곡된 조직 구조와 감독기관인 행정안전부의 금융역량 부재가 사태를 키운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새마을금고중앙회 산하 MG디지털연구소가 발간한 ‘2021 새마을금고 통계’에 따르면 새마을금고 임직원 2만8891명 가운데 임원이 1만3689명에 달했다. 정규직 직원이 1만5202명인 점을 감안하면 직원 100명당 임원이 85명인 셈이다. 새마을금고와 임직원 수가 비슷한 KB금융(2022년 말 기준 2만8101명)의 임원은 41명에 불과하다. KB금융의 임원 비율은 0.14%로 47%인 새마을금고와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다.

1294개 금고가 개별적 의사결정을 하고, 이사회도 금고별로 필요해 임원이 많을 수밖에 없다는 게 금고 측 설명이다. 하지만 일반 직원 수와 맞먹는 임원이 있는 조직의 실무 역량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게 금융권 안팎의 지적이다.

남양주동부새마을금고의 지난해 말 기준 임원은 10명, 정규직 직원은 14명이다. 임원은 이사장 1명, 부이사장 포함 이사 7명, 감사 2명으로 구성된다. 정규직 직원은 총무팀 2명, 우편 취급 직원 2명, 예금을 받는 수신팀 7명 등이다. 대출 실무를 맡는 여신 담당 직원은 3명에 불과했다. 한 일선 금고 직원은 “연임 제한에 걸려 물러난 이사장이나, 이사장에게 잘 보인 1급 직원이 은퇴한 뒤 상근이사로 돌아오는 사례가 부지기수”라며 “일선 직원들도 체계적 평가 없이 이사장 맘대로 승진이 왔다 갔다 하는 사례가 많다 보니 이사들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새마을금고를 관리감독하는 행안부의 담당 인력은 10여 명에 불과하다. 이마저 지방자치, 정부혁신 분야에서 근무하던 공무원이 ‘순환보직’ 형태로 맡고 있어 전문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행안부 관계자는 “지방·서민 금융을 다루는 특성 때문에 새마을금고를 행안부가 담당하는 것”이라며 “개별 금고를 감사할 때 금감원과 예금보험공사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해명했다.

새마을금고발 ‘뱅크런’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이날도 예수금(수신) 이탈이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재테크 커뮤니티 등에는 ‘거래 중인 금고가 정밀 점검 대상인 연체율 상위 30곳에 해당하는지’를 묻는 글이 끊이지 않았다. 지난해 말 기준 금고별 경영평가 결과가 나와 있는 새마을금고 홈페이지는 금융소비자, 금고 출자자가 몰리면서 한동안 접속 장애를 일으키기도 했다.

김대훈/조미현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