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지원사업 성과보고회
'스마트 수술실' 구축하니…"대기시간 줄고 만족도 상승"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4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2022년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지원사업'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스마트병원'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환자 안전과 의료 질을 개선하는 병원으로, 복지부는 2020년부터 매년 분야를 선정해 스마트병원 모델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2022년엔 ▲ 스마트 수술실(충남대병원 연합체) ▲ 스마트 입원환경(서울대병원 연합체,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연합체) ▲ 환자·보호자 교육(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연합체) 등 3개 분야에서 사업이 추진됐다.

통합관제 시스템과 수술실 대시보드 등을 갖춘 스마트 수술실을 구축한 충남대병원은 수술장 도착 후 수술방 입실까지 대기시간이 23분에서 21분으로 줄었고, 수술 진행상황 실시간 정보공유를 통해 보호자 만족도는 3.45점에서 4.36점(5점 만점)으로 개선됐다고 밝혔다.

서울대병원에선 모바일 앱을 통한 입원 수속을 가능하게 한 결과 수속 시간이 3분 29초에서 1분 23초로 절반 이상 줄었으며, 세브란스병원은 산모·보호자 교육을 모바일 중심으로 전환해 만족 응답률이 54%에서 98%로 늘었다고 밝혔다.

은성호 복지부 첨단의료지원관은 "2022년 사업은 수술, 입원, 퇴원 이후까지 환자 중심의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병원 혁신을 목표로 했다"며 "의미 있는 성과가 타 병원으로도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