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독재자' 바이든 발언에 中딜레마…대미 강경·대내 쉬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중관계와 연결지으며 美에 반발…자국 내에선 쟁점화 부담
블링컨 방중 직후 변수 부상…중국 후속대응에 미중관계 영향 수준 결정될 듯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독재자'로 분류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발언에 중국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파장이 이어지고 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의 18∼19일 방중 협의로 미·중 관계가 상황관리 국면으로 들어갈 것이라는 기대가 커진 상황에서 나온 돌발 변수가 양국 관계에 미칠 영향이 어느 정도일지 주목된다.
우선 중국은 이번 사안에서 미국에 강경하게 대응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모금행사에 참석한 자리에서 2월 '정찰풍선'(중국은 과학연구용 비행선이라고 주장)의 미국 영공 진입 사건과 관련해 "무엇이 벌어졌는지 모르는 것은 독재자들에게는 큰 창피(embarrassment)일 것"이라고 말했다.
시 주석을 독재자라고 직접적으로 언급하진 않았지만, 사실상 독재자로 규정한 셈이다.
그에 대해 중국은 21일 마오닝 외교부 대변인 정례 브리핑 때 "매우 터무니없고 무책임하며, 기본적인 사실과 외교적 예의에 엄중하게 위배되며, 중국의 정치적 존엄을 엄중하게 침범한 것으로, 공개적인 정치적 도발"이라고 규정한 뒤 "강렬한 불만"과 "결연한 반대"를 표명했다.
중국의 대응은 거기서 끝나지 않았다.
셰펑 주미대사가 21일(현지시간) 백악관과 국무부에 항의했고, 이튿날 대사관은 성명을 통해 "미국이 부정적인 영향을 원상태로 돌리고 그들의 약속을 지키기 위한 진지한 조치를 즉각 취할 것을 촉구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모든 결과를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대사관은 이어 "중국 정부와 국민은 깊은 모욕감을 느끼고 단호히 반대한다"면서 "바이든 대통령은 과거 미국은 중국 체제를 존중하고 그것을 바꾸려 하지 않으며 신냉전에 대한 의도가 없음을 명백하게 말했지만, 최근 중국의 정치 체제와 최고 지도자에 대한 무책임한 발언으로 미국 측의 진정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독재자' 발언을 지난해 11월 미중정상회담에서 달성한 '공동인식'에 위배되는 발언으로 규정했다는 점에서 중국의 대응은 심상치 않은 측면이 있다.
중국은 작년 발리 정상회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신냉전·중국 체제 변화·중국과의 충돌 등을 추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면서 기회가 있을 때마다 "발리에서 양국 정상이 달성한 공동인식을 이행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발리에서 달성했다는 이른바 공동인식을 미중 관계의 기반으로 부각해온 것이다.
그와 더불어 중국의 대응이 심상치 않은 것은 "최고지도자에 대한 정치적 도발"로 규정한 대목이다.
주미중국대사관은 "중국 정부와 국민은 중국 최고지도자에 대한 어떠한 정치적 도발도 용납하지 않으며,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작년 제20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 대회)와 3월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거쳐 시진핑 주석은 국가주석·당 총서기·중앙군사위원회 주석 등 당과 국가, 군의 최고 지도자 3연임 임기에 접어들었다.
중국 당·정이 시 주석의 위상을 마오쩌둥, 덩샤오핑급으로 정립하려 하는 상황에서 미국발로 '독재자' 발언이 나오자 재발 방지를 위해 '마지노선'을 치는 차원에서 강하게 대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미국에 이처럼 강하게 대응하면서 국내적으로는 바이든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 사실을 쉬쉬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 21일 마오닝 대변인 브리핑에서 밝힌 1차 반응을 당일 홈페이지에 올린 브리핑 질의응답 기록에서 뺐고, 중국 본토 매체들은 이 사안을 다루지 않고 있다.
주미대사관이 미국 측에 항의한 내용도 마찬가지다.
미국의 각종 대중국 견제 조치와 그에 대한 강경한 반박과 맞대응을 적극적으로 선전하며 애국 여론 결집을 모색해온 그간의 모습과는 다른 대응 기류다.
3연임에 들어선 데다 개혁개방기 집단지도체제의 틀에서 벗어나 독보적 '원톱체제'를 구축한 시진핑 주석에 대해 '독재자'라는 표현이 회자되는 것 자체가 국내적으로 예상치 못한 논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중국도 의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관심은 이번 사안이 미중 관계에 미칠 파장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22일 독재자 발언으로 인해 미중 관계가 복잡해질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답했지만, 중국과의 관계와 관련해 사실이라고 여기는 것을 바꾸지는 않는다며 발언을 철회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결국 중국이 이 사안과 대미 관계를 어느 정도까지 연계시킬지가 향후 미중 관계에 변수가 될 전망이다.
중국 측은 이를 엄중한 사안으로 보고 있다는 점이 외교 대변인 발언과 주미대사관의 반응을 통해 확인됐지만, 문제가 더 커지고 장기화하는 과정에서 자국민들에게 회자되는 상황은 부담스러울 수 있다.
/연합뉴스
블링컨 방중 직후 변수 부상…중국 후속대응에 미중관계 영향 수준 결정될 듯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독재자'로 분류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발언에 중국이 강하게 반발하면서 파장이 이어지고 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의 18∼19일 방중 협의로 미·중 관계가 상황관리 국면으로 들어갈 것이라는 기대가 커진 상황에서 나온 돌발 변수가 양국 관계에 미칠 영향이 어느 정도일지 주목된다.
우선 중국은 이번 사안에서 미국에 강경하게 대응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모금행사에 참석한 자리에서 2월 '정찰풍선'(중국은 과학연구용 비행선이라고 주장)의 미국 영공 진입 사건과 관련해 "무엇이 벌어졌는지 모르는 것은 독재자들에게는 큰 창피(embarrassment)일 것"이라고 말했다.
시 주석을 독재자라고 직접적으로 언급하진 않았지만, 사실상 독재자로 규정한 셈이다.
그에 대해 중국은 21일 마오닝 외교부 대변인 정례 브리핑 때 "매우 터무니없고 무책임하며, 기본적인 사실과 외교적 예의에 엄중하게 위배되며, 중국의 정치적 존엄을 엄중하게 침범한 것으로, 공개적인 정치적 도발"이라고 규정한 뒤 "강렬한 불만"과 "결연한 반대"를 표명했다.
중국의 대응은 거기서 끝나지 않았다.
셰펑 주미대사가 21일(현지시간) 백악관과 국무부에 항의했고, 이튿날 대사관은 성명을 통해 "미국이 부정적인 영향을 원상태로 돌리고 그들의 약속을 지키기 위한 진지한 조치를 즉각 취할 것을 촉구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모든 결과를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대사관은 이어 "중국 정부와 국민은 깊은 모욕감을 느끼고 단호히 반대한다"면서 "바이든 대통령은 과거 미국은 중국 체제를 존중하고 그것을 바꾸려 하지 않으며 신냉전에 대한 의도가 없음을 명백하게 말했지만, 최근 중국의 정치 체제와 최고 지도자에 대한 무책임한 발언으로 미국 측의 진정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독재자' 발언을 지난해 11월 미중정상회담에서 달성한 '공동인식'에 위배되는 발언으로 규정했다는 점에서 중국의 대응은 심상치 않은 측면이 있다.
중국은 작년 발리 정상회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신냉전·중국 체제 변화·중국과의 충돌 등을 추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면서 기회가 있을 때마다 "발리에서 양국 정상이 달성한 공동인식을 이행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발리에서 달성했다는 이른바 공동인식을 미중 관계의 기반으로 부각해온 것이다.
그와 더불어 중국의 대응이 심상치 않은 것은 "최고지도자에 대한 정치적 도발"로 규정한 대목이다.
주미중국대사관은 "중국 정부와 국민은 중국 최고지도자에 대한 어떠한 정치적 도발도 용납하지 않으며,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했다.
작년 제20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 대회)와 3월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거쳐 시진핑 주석은 국가주석·당 총서기·중앙군사위원회 주석 등 당과 국가, 군의 최고 지도자 3연임 임기에 접어들었다.
중국 당·정이 시 주석의 위상을 마오쩌둥, 덩샤오핑급으로 정립하려 하는 상황에서 미국발로 '독재자' 발언이 나오자 재발 방지를 위해 '마지노선'을 치는 차원에서 강하게 대응하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미국에 이처럼 강하게 대응하면서 국내적으로는 바이든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 사실을 쉬쉬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 21일 마오닝 대변인 브리핑에서 밝힌 1차 반응을 당일 홈페이지에 올린 브리핑 질의응답 기록에서 뺐고, 중국 본토 매체들은 이 사안을 다루지 않고 있다.
주미대사관이 미국 측에 항의한 내용도 마찬가지다.
미국의 각종 대중국 견제 조치와 그에 대한 강경한 반박과 맞대응을 적극적으로 선전하며 애국 여론 결집을 모색해온 그간의 모습과는 다른 대응 기류다.
3연임에 들어선 데다 개혁개방기 집단지도체제의 틀에서 벗어나 독보적 '원톱체제'를 구축한 시진핑 주석에 대해 '독재자'라는 표현이 회자되는 것 자체가 국내적으로 예상치 못한 논쟁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중국도 의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관심은 이번 사안이 미중 관계에 미칠 파장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22일 독재자 발언으로 인해 미중 관계가 복잡해질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아니다"라고 답했지만, 중국과의 관계와 관련해 사실이라고 여기는 것을 바꾸지는 않는다며 발언을 철회할 뜻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결국 중국이 이 사안과 대미 관계를 어느 정도까지 연계시킬지가 향후 미중 관계에 변수가 될 전망이다.
중국 측은 이를 엄중한 사안으로 보고 있다는 점이 외교 대변인 발언과 주미대사관의 반응을 통해 확인됐지만, 문제가 더 커지고 장기화하는 과정에서 자국민들에게 회자되는 상황은 부담스러울 수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