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 스마트워크 도입... 교육행정기관 중 처음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은 최근 이사한 광교 본청(사진) 등에 스마트워크 시스템을 전면 도입한다고 21일 발표했다.

도교육청 본청 직원들은 업무 특성에 따라 남부청사(광교) 혹은 북부청사(의정부)에서 원하는 일수만큼 근무할 수 있다. 키오스크와 웹을 통해 선택한 좌석에는 자동으로 전자 명패가 생성되고, 개인 업무 전화번호도 연동된다.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을 도입해, 종이를 절약할 수 있고 문서 정보 유출도 막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도교육청은 스마트워크가 유연하게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자체와 시도교육청 가운데 전국 최초로 5G를 통신망을 구축하고 있다. 7~8월 시범 운영 기간을 거쳐 9월 이후에는 본청 전 부서에서 활용할 예정이다. 5G가 도입되면, 노트북을 활용한 모바일 근무 환경을 통해 출장지 또는 이동하는 차 안 등 언제 어디서나 업무처리가 가능하다.

스마트 전자정부 서비스인 G클라우드를 도입하면서 영상회의, 커뮤니티, 드라이브, 일정 등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돼 팀 내와 부서 간에 일상적으로 업무 상황을 공유하고 협업할 수도 있다. 화상회의 보고시스템을 활용하면 부서장 이상 간부진에게 실시간 화상 보고가 가능해진다는 설명이다.

시범 운영된 근무환경을 미리 활용해본 한 직원은 "청사, 업무층, 좌석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데다, 화상보고도 가능해져 출퇴근 피로감이 줄었고 업무 집중도도 높아졌다"며 "학교 현장을 지원하는데 시간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조규문 도교육청 운영지원과장은 "경기도는 학교와 지역별 특색이 달라 직원들의 유연한 근무방식이 필수"라고 말했다.
경기도교육청 스마트워크 도입... 교육행정기관 중 처음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