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연금개혁, 논의 안돼"…'특정국 의존 경감·공급망 다변화' 한 뜻
尹, 마크롱 만나 "EU 무역입법, 韓 차별 없게 관심 가져달라"
윤석열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가진 한불정상회담에서 "유럽연합(EU)이 추진 중인 신규 무역입법 조치들이 우리 기업에 차별 효과를 가져오지 않도록 각별한 관심을 보여달라"고 요청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이날 밤 파리 현지 프레스룸 브리핑에서 이같이 전했다.

윤 대통령과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낮 엘리제궁에서 2시간 동안 진행된 정상회담에서 이차 전지, 배터리 등 첨단 분야를 중심으로 상호 투자를 확대하고 이를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양 정상은 한국 우주항공청 설립을 계기로 ▲ 우주 협력 ▲ 프랑스 에어버스 및 한국 기업간 방위산업 협력 ▲ 차세대 소형모듈원자로(SMR) 및 수소에너지 등 청정에너지 기술협력 ▲ 청년스타트업 교류·협력 등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정면 위반한 북한의 반복된 도발을 강력 규탄하면서 불법 행동에 대해서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

윤 대통령은 올해 우리 정부의 첫 북한인권보고서 발간 등의 노력에 대해 설명했으며, 마크롱 대통령도 "한국 정부 노력을 확고히 지지하며 북한 인권 증진을 위해 함께 협력하자"고 강조했다.

이날 회담에서 마크롱 대통령이 추진해온 연금개혁과 관련해 직접적인 논의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연금개혁에 대해선 대화가 오가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연금개혁에 대한) 프랑스 내 찬반 논쟁이 격렬하다"며 "그 인과관계가 직접 결부돼 있는지 모르겠지만 마크롱 대통령 지지율이 영향을 받고 있고 그래서 조심스러워서 그런 것인지 우리 대통령에게 직접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로서는 이 (연금개혁) 문제를 프랑스와 정상회담에서 어젠다로 올릴 이유가 없었다"고 부연했다.

이 관계자는 '마크롱 대통령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강하게 비판한 바 있는데 한국, 프랑스 모두 IRA 영향을 받지 않느냐'는 언론 지적에 "특정국 특정 품목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경감시키면서 공급망 다변화를 꾀하며 서로 공조하자는 데는 오늘 합의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프랑스가 과거 사우디의 2030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 지지를 밝힌 것과 관련해, "우리가 상대적으로 늦게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사우디 지지 의사를 이미 표했던 나라들이 (최근) 고민에 빠져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11월 투표가 한 번에 끝난다는 보장이 없다"며 "우리는 1, 2차 투표를 염두에 두면서 여러 나라들과 솔직하게 의견을 주고받고 지지세를 확대하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