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혁신기구가 역할과 권한을 놓고 출범도 하기 전부터 당 안팎에서 이런저런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혁신’이라는 거대 담론 수준의 목표만 제시됐을 뿐 어떤 역할과 권한이 주어졌는지에 대해선 알려진 게 없어서다. 일각에서는 “이재명 대표가 있는 한 혁신기구는 꼭두각시에 불과할 것”이라는 얘기마저 나온다.

18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 혁신기구 수장에 임명된 김은경 한국외국어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이번주 기구의 인적 구성을 마무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10명 안팎으로 꾸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외부 인사가 주축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관계자는 “내부 인사 중 누가 혁신기구에 참여하느냐에 따라 계파 갈등이 빚어질 수 있는 만큼 현역 국회의원 참여는 최소화될 것”이라고 했다.

관심은 혁신기구의 역할과 권한이다. 이 대표가 혁신안 마련에 대한 전권을 혁신기구에 부여하겠다고 했지만, 해석은 분분하다. 핵심은 공천 등 인사와 관련된 혁신이다. 민주당 재선 의원은 “당 지도부의 공천권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혁신안이 과연 나올 수 있겠느냐”고 했다.

비명(비이재명)계는 혁신기구에 큰 기대를 하지 않는 분위기다. 자신의 사법 리스크,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김남국 의원 암호화폐 거래 논란 등에 책임지고 이 대표가 물러나는 것이야말로 혁신이라는 게 비명계 의원들의 주장이다. 한 비명계 의원은 “혁신기구에 전권을 준다고 해도 이 대표가 있는 한 그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했다.

원종환 기자 won04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