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오전 부산 해군작전사령부 부산작전기지에 미국 해군의 '오하이오'급 핵추진 순항유도탄 잠수함 '미시건'(SSGN-727)이 입항해 있다. /사진=뉴스1
6일 오전 부산 해군작전사령부 부산작전기지에 미국 해군의 '오하이오'급 핵추진 순항유도탄 잠수함 '미시건'(SSGN-727)이 입항해 있다. /사진=뉴스1
미국 해군의 핵추진 잠수함(SSGN) '미시건함'이 16일 부산 해군작전기지에 입항했다.

SSGN이 한국을 찾은 건 2017년 10월 이후 약 6년 만이다.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미 전략자산의 상시적 순환배치를 통해 한미 확장억제를 강화하겠다는 대북 경고 메시지로 해석된다. 미시건함과 승조원들은 오는 22일까지 부산 일대에 머물 예정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번 SSGN 방한은 워싱턴선언에 담긴 미국 전략자산의 정례적 가시성 증진 합의에 따른 것"이라며 "미국이 전략자산을 한반도에 상시 배치하는 효과를 내도록 자주 전개하겠다는 약속을 이행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미시건함은 길이 170.6m, 너비 12.8m, 수중배수량 1만8000t급으로 세계 최대 잠수함 중 하나다. 지난 1982년에 취역한 뒤 2007년에 SSGN으로 개조된 4척의 핵 추진 잠수함 중 하나다. 미시건함은 사거리가 2500km에 달하는 토마호크 순항미사일 150여 발을 탑재할 수 있다. 특수전 요원을 태워 적지 침투 등 특수작전 임무 수행도 가능하다.

국방부는 "이번 미국 SSGN 방한 계기에 양국 해군은 연합특수전훈련을 통해 고도화되는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특수전 수행 능력과 상호운용성을 강화할 것"이라며 "이번 입항 기간에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하여 해군과 다양한 친선교류 활동을 병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군 당국은 4월 한미정상회담 후 합의된 워싱턴선언에 따라 SSBN의 한국 기항도 미국과 지속해서 협의·추진해나갈 방침이다. SSBN은 핵 추진 탄도유도탄 잠수함(오하이오급)으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탑재해 전략적 임무를 수행한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