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수, 50억 담보받으려 5억 보냈나…검찰 소환 임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은행 출자 불발에 '200억→50억' 대가 축소 여부 의심
박영수 전 특별검사의 '50억 클럽'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박 전 특검으로부터 대장동 일당에게 넘어간 5억원의 성격을 일종의 '담보 장치'로 보고 수사 중이다.
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엄희준 부장검사)는 자금 추적과 관련자 진술을 통해 이 같은 정황을 포착하고 소환 전 사실관계를 정리하고 있다.
박 전 특검은 2015년 4월3일 김만배씨가 대주주인 화천대유자산관리 계좌로 5억원을 이체했다.
이 돈은 화천대유가 참여한 성남의뜰 컨소시엄이 대장동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이후 성남도시개발공사에 납부해야 하는 사업협약체결 보증금으로 사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대장동 사업 공모지침서에는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 이후 10일 이내에 5억원의 보증금을 내지 않으면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잃는다고 규정됐다.
검찰은 이 5억원이 토목업자 나모씨에게서 나왔고 박 전 특검의 인척이자 대장동 분양대행업자인 이기성 씨와 박 전 특검을 거쳐 김씨에게 전달된 것으로 파악했다.
박 전 특검 측은 이 돈이 원래 김씨가 이씨로부터 화천대유 초기 운영자금으로 쓰기 위해 빌린 돈이며 김씨 부탁으로 자신의 계좌만 빌려줬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검찰은 김씨가 이씨에게 곧바로 5억원을 받지 않고 굳이 중간에 '통로'로 박 전 특검을 끼워 넣었다는 데 주목한다.
박 전 특검이 우리은행 이사회 의장으로서 대장동 민간업자들을 위한 영향력을 행사해줬고 그 대가로 수수할 금품을 담보 받으려는 목적으로 자신의 계좌를 끼워 넣은 것 아니냐는 게 검찰의 의심이다.
검찰은 "김씨가 '박영수 고검장이 보증금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는 관련자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는 앞서 검찰 조사에서 "박 전 특검에게 대장동 개발사업과 관련해 생색을 낼 수 있는 외형을 만들어주려고 했던 것"이라고 진술하기도 했다.
이런 진술과 정황으로 미뤄 대장동 사업에 참여한 적 없다는 박 전 특검의 주장과 달리 실제로는 사업 상황을 깊숙이 알고 개입하고 있었던 것 아닌지 규명이 필요하다고 검찰은 보고 있다.
검찰은 박 전 특검이 2014년 11월 성남의뜰 컨소시엄에 우리은행이 지분 투자자로 참여하도록 해주겠다며 200억원 상당의 땅과 상가건물 등을 약속받았지만 출자가 불발된 것으로 의심한다.
대신 박 전 특검이 우리은행이 여신의향서를 발급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해 받기로 한 금품 규모가 50억원 수준으로 줄어든 것인지도 살펴보고 있다.
우리은행은 당초 성남의뜰 컨소시엄에 출자자로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2015년 3월19일 심사부 반대로 최종 불참했다.
대신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에는 참여하겠다며 3월23일 1천500억원의 여신의향서를 냈다.
지분 투자가 불발되자 김씨가 박 전 특검에게 여신의향서 발급이라도 해달라고 추가 요청을 했고 이런 청탁이 당시 김종원 우리은행 부동산금융사업본부 부행장을 통해 부동산금융부장이던 A씨에게 전달된 것으로 검찰은 본다.
A씨는 2014년 가을께부터 대장동 민간업자인 정영학 씨, 남욱 씨, 양재식 변호사와 함께 박 전 특검이 대표변호사로 있던 법무법인 강남 사무실에서 컨소시엄 구성과 PF 대출 가능성을 논의한 인물이다.
검찰은 박 전 특검이 2015년 7월∼2016년 11월 화천대유 고문을 지내며 받은 급여 2억5천500만원과 딸이 화천대유에서 빌려 간 11억원도 그가 약속받은 50억원 중 일부인지도 수사 중이다.
검찰은 조만간 박 전 특검과 양 변호사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박 전 특검은 "대장동 개발과 관련해 그 사업에 참여하거나 금융알선 등을 대가로 금품을 받거나 약속한 사실이 결코 없다"며 "관련자들의 회피적이고 근거 없는 진술에 기반한 허구의 사실"이라는 입장이다.
박 전 특검은 이른바 '가짜 수산업자'에게 포르쉐 렌터카 등을 빌린 혐의로 2021년 8월 경찰, 2022년 10월 검찰에서 1번씩 소환조사를 받았고, '50억 클럽' 의혹과 관련해 이전 대장동 수사팀에 2021년 11월과 2022년 1월 모두 2차례 소환된 적 있다.
/연합뉴스
4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엄희준 부장검사)는 자금 추적과 관련자 진술을 통해 이 같은 정황을 포착하고 소환 전 사실관계를 정리하고 있다.
박 전 특검은 2015년 4월3일 김만배씨가 대주주인 화천대유자산관리 계좌로 5억원을 이체했다.
이 돈은 화천대유가 참여한 성남의뜰 컨소시엄이 대장동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이후 성남도시개발공사에 납부해야 하는 사업협약체결 보증금으로 사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대장동 사업 공모지침서에는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 이후 10일 이내에 5억원의 보증금을 내지 않으면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를 잃는다고 규정됐다.
검찰은 이 5억원이 토목업자 나모씨에게서 나왔고 박 전 특검의 인척이자 대장동 분양대행업자인 이기성 씨와 박 전 특검을 거쳐 김씨에게 전달된 것으로 파악했다.
박 전 특검 측은 이 돈이 원래 김씨가 이씨로부터 화천대유 초기 운영자금으로 쓰기 위해 빌린 돈이며 김씨 부탁으로 자신의 계좌만 빌려줬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검찰은 김씨가 이씨에게 곧바로 5억원을 받지 않고 굳이 중간에 '통로'로 박 전 특검을 끼워 넣었다는 데 주목한다.
박 전 특검이 우리은행 이사회 의장으로서 대장동 민간업자들을 위한 영향력을 행사해줬고 그 대가로 수수할 금품을 담보 받으려는 목적으로 자신의 계좌를 끼워 넣은 것 아니냐는 게 검찰의 의심이다.
검찰은 "김씨가 '박영수 고검장이 보증금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는 관련자 진술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는 앞서 검찰 조사에서 "박 전 특검에게 대장동 개발사업과 관련해 생색을 낼 수 있는 외형을 만들어주려고 했던 것"이라고 진술하기도 했다.
이런 진술과 정황으로 미뤄 대장동 사업에 참여한 적 없다는 박 전 특검의 주장과 달리 실제로는 사업 상황을 깊숙이 알고 개입하고 있었던 것 아닌지 규명이 필요하다고 검찰은 보고 있다.
검찰은 박 전 특검이 2014년 11월 성남의뜰 컨소시엄에 우리은행이 지분 투자자로 참여하도록 해주겠다며 200억원 상당의 땅과 상가건물 등을 약속받았지만 출자가 불발된 것으로 의심한다.
대신 박 전 특검이 우리은행이 여신의향서를 발급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해 받기로 한 금품 규모가 50억원 수준으로 줄어든 것인지도 살펴보고 있다.
우리은행은 당초 성남의뜰 컨소시엄에 출자자로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2015년 3월19일 심사부 반대로 최종 불참했다.
대신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에는 참여하겠다며 3월23일 1천500억원의 여신의향서를 냈다.
지분 투자가 불발되자 김씨가 박 전 특검에게 여신의향서 발급이라도 해달라고 추가 요청을 했고 이런 청탁이 당시 김종원 우리은행 부동산금융사업본부 부행장을 통해 부동산금융부장이던 A씨에게 전달된 것으로 검찰은 본다.
A씨는 2014년 가을께부터 대장동 민간업자인 정영학 씨, 남욱 씨, 양재식 변호사와 함께 박 전 특검이 대표변호사로 있던 법무법인 강남 사무실에서 컨소시엄 구성과 PF 대출 가능성을 논의한 인물이다.
검찰은 박 전 특검이 2015년 7월∼2016년 11월 화천대유 고문을 지내며 받은 급여 2억5천500만원과 딸이 화천대유에서 빌려 간 11억원도 그가 약속받은 50억원 중 일부인지도 수사 중이다.
검찰은 조만간 박 전 특검과 양 변호사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박 전 특검은 "대장동 개발과 관련해 그 사업에 참여하거나 금융알선 등을 대가로 금품을 받거나 약속한 사실이 결코 없다"며 "관련자들의 회피적이고 근거 없는 진술에 기반한 허구의 사실"이라는 입장이다.
박 전 특검은 이른바 '가짜 수산업자'에게 포르쉐 렌터카 등을 빌린 혐의로 2021년 8월 경찰, 2022년 10월 검찰에서 1번씩 소환조사를 받았고, '50억 클럽' 의혹과 관련해 이전 대장동 수사팀에 2021년 11월과 2022년 1월 모두 2차례 소환된 적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