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엔 벌써 녹조…환경부, '퇴비 관리' 중점 녹조대책 발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봄 가뭄에 이른 더위' 지난달 말 낙동강서 녹조띠 확인
유속 늦추는 보에 대해선 "상황에 맞춰 운영" 원론적 방침만 환경부가 강변에 적치된 비료 등 '비점오염원' 관리에 중점을 둔 여름 녹조 대책을 1일 내놨다.
환경부는 낙동강의 느린 유속을 녹조가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로 꼽으면서도 유속에 영향을 주는 보에 대해서는 "상황에 맞춰 운영하겠다"라는 방침만 밝혔다.
지난 봄까지 가뭄이 극심했고 더위도 일찍 찾아오면서 4대강 가운데 녹조 문제가 가장 심한 낙동강에선 지난달 말 이미 녹조가 발생했다.
대구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합천창녕보 상류에서 올해 처음으로 녹조 띠가 확인됐는데 이는 지난해보다 한 달가량 이른 것이다.
환경부는 녹조 예방을 위해 낙동강 수계 강가에 야적된 퇴비를 소유자가 이달 내 수거하도록 조처하기로 했다.
퇴비를 치우지 않으면 지자체를 통해 가축분뇨법 위반을 이유로 소유자를 고발하기로도 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낙동강 수계 강변에 퇴비가 쌓여있는 곳은 1천579곳이다.
이 가운데 625곳(39.6%)은 하천부지나 제방 등 공유부지에 부적정하게 퇴비가 적치된 곳으로 파악된다.
강변에 퇴비가 쌓여있으면 비가 내릴 때 녹조의 원인인 인과 질소가 포함된 침출수가 강으로 흘러들게 된다.
남부지방 평년 장마 시작일이 6월 23일인데 이달 말보다 더 일찍 강변 퇴비를 치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환경부 관계자는 "가급적 이달 중순까지 퇴비 수거를 마칠 계획이다"라면서 낙동강을 중심으로 수거가 진행되는 점에 대해서는 "금강과 한강은 상수원에 영향을 주는 퇴비 야적지가 50~60곳인데 낙동강은 1천500곳이 넘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환경부는 녹조 문제가 심각한 지자체에 양분관리제를 시범 실시하기로도 했다.
양분관리제는 일정 기간 내 투입되는 퇴비 등 양분의 양과 작물 산출량 차이인 '양분수지'를 관리하는 제도로 환경이 견딜 수 있는 범위 내로 양분을 사용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하반기 국가가축분뇨종합계획이 나올 예정인데 환경부는 이 계획에 양분관리제를 반영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환경부는 방류수 총인(T-P) 기준을 충족한 공공하·폐수처리장을 지원하고 하·폐수처리시설이 총인 농도를 추가로 줄이면 오염총량제 삭감량으로 인정키로 했다.
이 역시 녹조 원인 물질이 강에 유입되는 것을 막는 조처다.
녹조가 발생하면 물순환장치 등 녹조제거장치와 녹조제거선박 등을 투입한다.
녹조제거장치는 현재 총 857대다.
녹조제거선박은 14대인데 2024년까지 낙동강에 20대를 더 늘린다.
자율주행하며 녹조를 제거하는 에코로봇은 4대에서 24대로 확충한다.
이날 환경부는 낙동강에 녹조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 중 하나로 '경사가 완만해 유속이 느린 점'을 꼽으면서도 유속을 늦추는 보에 대해서는 "녹조가 발생하면 댐·하굿둑과 연계해 물을 일시에 방류하는 등 수위를 탄력적으로 조정하겠다"라고만 밝혔다.
실제 낙동강 8개 보는 지난달 28일부터 방류 중인데 녹조 예방 목적도 있다고 환경부 측은 설명했다.
환경부가 녹조 관련 보 운영방침을 원론적으로만 밝히면서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환경부가 보 존치를 위해 녹조 원인을 비점오염원에 돌렸다는 비판이 일 전망이다.
보 개방이 녹조 감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그간 환경부 입장이다.
2021년 1월 환경부는 "완전히 개방된 보를 중심으로 녹조가 줄어드는 경향이 확인됐다"라면서 2018년의 경우 녹조가 발생하기 쉬운 날씨가 나타났지만, 수문을 완전히 연 금강 공주보와 승촌보 구간은 개방 전보다 녹조가 14%와 87% 줄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환경부는 녹조 예방 중장기 대책도 내놨다.
우선 가축분뇨와 관련해 분뇨를 고온으로 태우는 '바이오차'를 분뇨 처리방법으로 추가하는 제도 개선과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녹조가 먹는물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녹조가 많이 발생하는 곳에 자리한 낙동강 물금취수장 등에 취수 수심을 선택할 수 있는 취수시설을 설치한다.
녹조가 발생했을 때 수심 깊은 곳 물을 취수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녹조를 일으키는 남조류인 '마이크로시스티스' 내 존재하는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과 관련해선 수돗물에서 마이크로시스틴류 6종이 0.05㎍/ℓ 이하로 유지되게 정수처리기준을 바꾼다.
지금은 마이크로시스틴-LR에 대해서만 '0.1㎍/ℓ 이하'라는 기준이 있다.
또한 총질소(T-N)가 녹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하·폐수처리장 방류수 내 총질소 기준(20㎎/ℓ)을 강화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녹조 관련 컨트롤타워를 맡을 국가녹조대응센터를 신설하기로 했다.
또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녹조예측기법을 고도화하고 녹조경보제도 개선한다.
녹조는 강과 호수 등에서 남조류가 과다하게 많아지는 현상이다.
남조류는 수온이 20~30도일 때 가장 왕성하게 성장해 녹조는 여름에 주로 발생한다.
조류는 물속에서 광합성해 유기물을 만들어 다른 생물에게 먹이를 주지만 수면에 과다하게 많아지면 수중으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 물고기들이 폐사하게 만드는 등 생태계에 악영향을 준다.
특히 마이크로시스티스, 아나베나, 오실라토리아, 아파니조메논 등 남조류 4종은 독성물질을 배출하기도 한다.
다만 이 독성물질은 정수 과정에서 사실상 100% 제거된다.
낙동강은 경사가 완만해 유속이 느린 데다가 강 인근에 산업단지와 축산시설이 많이 녹조가 제일 심하게 발생한다.
/연합뉴스
유속 늦추는 보에 대해선 "상황에 맞춰 운영" 원론적 방침만 환경부가 강변에 적치된 비료 등 '비점오염원' 관리에 중점을 둔 여름 녹조 대책을 1일 내놨다.
환경부는 낙동강의 느린 유속을 녹조가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로 꼽으면서도 유속에 영향을 주는 보에 대해서는 "상황에 맞춰 운영하겠다"라는 방침만 밝혔다.
지난 봄까지 가뭄이 극심했고 더위도 일찍 찾아오면서 4대강 가운데 녹조 문제가 가장 심한 낙동강에선 지난달 말 이미 녹조가 발생했다.
대구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합천창녕보 상류에서 올해 처음으로 녹조 띠가 확인됐는데 이는 지난해보다 한 달가량 이른 것이다.
환경부는 녹조 예방을 위해 낙동강 수계 강가에 야적된 퇴비를 소유자가 이달 내 수거하도록 조처하기로 했다.
퇴비를 치우지 않으면 지자체를 통해 가축분뇨법 위반을 이유로 소유자를 고발하기로도 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낙동강 수계 강변에 퇴비가 쌓여있는 곳은 1천579곳이다.
이 가운데 625곳(39.6%)은 하천부지나 제방 등 공유부지에 부적정하게 퇴비가 적치된 곳으로 파악된다.
강변에 퇴비가 쌓여있으면 비가 내릴 때 녹조의 원인인 인과 질소가 포함된 침출수가 강으로 흘러들게 된다.
남부지방 평년 장마 시작일이 6월 23일인데 이달 말보다 더 일찍 강변 퇴비를 치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환경부 관계자는 "가급적 이달 중순까지 퇴비 수거를 마칠 계획이다"라면서 낙동강을 중심으로 수거가 진행되는 점에 대해서는 "금강과 한강은 상수원에 영향을 주는 퇴비 야적지가 50~60곳인데 낙동강은 1천500곳이 넘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환경부는 녹조 문제가 심각한 지자체에 양분관리제를 시범 실시하기로도 했다.
양분관리제는 일정 기간 내 투입되는 퇴비 등 양분의 양과 작물 산출량 차이인 '양분수지'를 관리하는 제도로 환경이 견딜 수 있는 범위 내로 양분을 사용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하반기 국가가축분뇨종합계획이 나올 예정인데 환경부는 이 계획에 양분관리제를 반영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환경부는 방류수 총인(T-P) 기준을 충족한 공공하·폐수처리장을 지원하고 하·폐수처리시설이 총인 농도를 추가로 줄이면 오염총량제 삭감량으로 인정키로 했다.
이 역시 녹조 원인 물질이 강에 유입되는 것을 막는 조처다.
녹조가 발생하면 물순환장치 등 녹조제거장치와 녹조제거선박 등을 투입한다.
녹조제거장치는 현재 총 857대다.
녹조제거선박은 14대인데 2024년까지 낙동강에 20대를 더 늘린다.
자율주행하며 녹조를 제거하는 에코로봇은 4대에서 24대로 확충한다.
이날 환경부는 낙동강에 녹조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 중 하나로 '경사가 완만해 유속이 느린 점'을 꼽으면서도 유속을 늦추는 보에 대해서는 "녹조가 발생하면 댐·하굿둑과 연계해 물을 일시에 방류하는 등 수위를 탄력적으로 조정하겠다"라고만 밝혔다.
실제 낙동강 8개 보는 지난달 28일부터 방류 중인데 녹조 예방 목적도 있다고 환경부 측은 설명했다.
환경부가 녹조 관련 보 운영방침을 원론적으로만 밝히면서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환경부가 보 존치를 위해 녹조 원인을 비점오염원에 돌렸다는 비판이 일 전망이다.
보 개방이 녹조 감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그간 환경부 입장이다.
2021년 1월 환경부는 "완전히 개방된 보를 중심으로 녹조가 줄어드는 경향이 확인됐다"라면서 2018년의 경우 녹조가 발생하기 쉬운 날씨가 나타났지만, 수문을 완전히 연 금강 공주보와 승촌보 구간은 개방 전보다 녹조가 14%와 87% 줄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환경부는 녹조 예방 중장기 대책도 내놨다.
우선 가축분뇨와 관련해 분뇨를 고온으로 태우는 '바이오차'를 분뇨 처리방법으로 추가하는 제도 개선과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녹조가 먹는물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녹조가 많이 발생하는 곳에 자리한 낙동강 물금취수장 등에 취수 수심을 선택할 수 있는 취수시설을 설치한다.
녹조가 발생했을 때 수심 깊은 곳 물을 취수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녹조를 일으키는 남조류인 '마이크로시스티스' 내 존재하는 독성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과 관련해선 수돗물에서 마이크로시스틴류 6종이 0.05㎍/ℓ 이하로 유지되게 정수처리기준을 바꾼다.
지금은 마이크로시스틴-LR에 대해서만 '0.1㎍/ℓ 이하'라는 기준이 있다.
또한 총질소(T-N)가 녹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하·폐수처리장 방류수 내 총질소 기준(20㎎/ℓ)을 강화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녹조 관련 컨트롤타워를 맡을 국가녹조대응센터를 신설하기로 했다.
또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녹조예측기법을 고도화하고 녹조경보제도 개선한다.
녹조는 강과 호수 등에서 남조류가 과다하게 많아지는 현상이다.
남조류는 수온이 20~30도일 때 가장 왕성하게 성장해 녹조는 여름에 주로 발생한다.
조류는 물속에서 광합성해 유기물을 만들어 다른 생물에게 먹이를 주지만 수면에 과다하게 많아지면 수중으로 햇빛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 물고기들이 폐사하게 만드는 등 생태계에 악영향을 준다.
특히 마이크로시스티스, 아나베나, 오실라토리아, 아파니조메논 등 남조류 4종은 독성물질을 배출하기도 한다.
다만 이 독성물질은 정수 과정에서 사실상 100% 제거된다.
낙동강은 경사가 완만해 유속이 느린 데다가 강 인근에 산업단지와 축산시설이 많이 녹조가 제일 심하게 발생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