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정책 권고안 발표…'기회창출·책임증진·보안강화'
구글 "각국 정부, AI 개발 지원하되 책임성·보안 담보해야"
구글은 각국 정부가 기회 창출, 책임 증진, 보안 강화라는 세 가지 핵심 영역에 집중할 것을 권장하는 인공지능(AI) 정책 권고안을 담은 백서를 23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발표했다.

구글은 먼저 AI가 가져올 경제효과를 극대화할 기회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글은 AI가 다양한 산업에서 더 복잡하고 가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면서 이를 고려해 각국 정부가 AI 혁신과 경쟁력에 투자하도록 하고, AI 혁신을 지원하는 법적 체계를 장려하며, AI 기반 일자리 전환을 위한 인력을 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예컨대 국립 연구소와 연구 기관을 통해 기초적인 AI 연구를 탐색하고, 개인정보보호법 등 책임감 있는 AI 개발을 지원하는 정책을 채택하는 것 등이다.

구글은 또 AI 기술 오용 위험을 줄이고 책임을 장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AI는 이미 질병부터 기후 변화까지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고 있지만, 책임감 있게 발전되지 않으면 잘못된 정보·차별·도구의 오용과 같은 현재의 사회적 문제를 증폭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를 해결하려면 AI의 이점과 위험, 관리 방법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 워터마킹 같은 새로운 기술을 구현해야 하며, '테러리즘 대응을 위한 국제 인터넷 포럼' 같은 새로운 조직과 기관의 창설이 필요할 수도 있다고 구글은 조언했다.

구글은 글로벌 보안 강화와 기술 악용 방지 필요성도 강조했다.

각국 정부는 보안 위험이 될 수 있는 AI 기반 소프트웨어 응용 사례, 글로벌 보안을 위협하는 AI 관련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특정 단체 등에 대해 무역 통제를 모색해야 한다고 구글은 촉구했다.

켄트 워크 구글 수석 부사장은 "기회, 책임감, 보안에 중점을 둔 AI 정책 의제가 마련된다면 AI의 강점을 실현할 수 있다"면서 "구글은 각국 정부의 이러한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