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정책연구원,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2.6% 전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년 11월 대비 0.2%p 상향 조정
"더딘 복원을 향한 협소한 통로 지날 것"
미국 1.2%, 중국 5.5% 성장 예상
"더딘 복원을 향한 협소한 통로 지날 것"
미국 1.2%, 중국 5.5% 성장 예상
국책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16일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제시했다. 작년 11월에 내놓은 전망치 보다 0.2%포인트 높였지만 더딘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KIEP는 이날 '2023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보고서를 통해 각국(한국 제외)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했다.
KIEP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소폭 상향 조정하면서도 "더딘 복원을 향한 협소한 통로를 지날 것"이라고 평가했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으로 인한 금융권 불안과 신용긴축, 공급망 재편에 따른 비용 증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인플레이션 장기화 등을 위협요인으로 꼽았다.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은 올해 보다 0.4%포인트 높은 3%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종전 전망 보다 0.6%포인트 높은 1.2%의 경제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예측했다. 작년 성장률(2.1%)에 비해선 0.9%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KIEP는 "미국은 견조한 고용시장과 정점을 지난 물가상승률 등의 긍정적 요인이 있지만, 금융권의 타이트한(빡빡한) 신용 여건, 여전히 높은 수준에서 유지될 정책금리 등으로 하반기부터 경기가 둔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로 지역과 영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각각 0.8%, -0.2%로 제시했다. 유로 지역의 성장률 전망치는 0.8%포인트 상향 조정됐고, 영국은 변동이 없었다.
올해 일본의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1.5%에서 1.4%로 0.1%포인트 내렸다. 내수를 중심으로 경제가 회복할 것으로 보이지만, 에너지 가격 상승을 비롯한 대외 리스크와 일본은행의 금융 완화정책 변동성 등이 성장률을 제약할 것이라고 했다.
중국은 올해 5.5%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며 중국 당국이 목표로 삼은 '5% 내외' 성장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종전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4.8%)에서 0.7%포인트 높였다. 지난해 중국의 경제성장률(3%)이 워낙 낮았던 데다 중국 당국의 내수 활성화 정책과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가 나타날 것이란 예상에서다.
다만 중국의 리오프닝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이전보다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김흥종 KIEP 원장은 "중국 경제가 회복하고 있지만 내수 중심 성장으로 정책 기조가 바뀌면서 우리나라를 포함해 중국과 함께 성장하는 주변국과의 상관관계가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며 "중국의 리오프닝이 전 세계 경제를 견인할 동인이라고 하기엔 그 부분이 약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KIEP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중국과 인접한 아세안 5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4.7%)를 0.2%포인트 낮췄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KIEP는 이날 '2023년 세계경제 전망(업데이트)' 보고서를 통해 각국(한국 제외)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했다.
KIEP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소폭 상향 조정하면서도 "더딘 복원을 향한 협소한 통로를 지날 것"이라고 평가했다.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으로 인한 금융권 불안과 신용긴축, 공급망 재편에 따른 비용 증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인플레이션 장기화 등을 위협요인으로 꼽았다.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은 올해 보다 0.4%포인트 높은 3%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종전 전망 보다 0.6%포인트 높은 1.2%의 경제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예측했다. 작년 성장률(2.1%)에 비해선 0.9%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KIEP는 "미국은 견조한 고용시장과 정점을 지난 물가상승률 등의 긍정적 요인이 있지만, 금융권의 타이트한(빡빡한) 신용 여건, 여전히 높은 수준에서 유지될 정책금리 등으로 하반기부터 경기가 둔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로 지역과 영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각각 0.8%, -0.2%로 제시했다. 유로 지역의 성장률 전망치는 0.8%포인트 상향 조정됐고, 영국은 변동이 없었다.
올해 일본의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1.5%에서 1.4%로 0.1%포인트 내렸다. 내수를 중심으로 경제가 회복할 것으로 보이지만, 에너지 가격 상승을 비롯한 대외 리스크와 일본은행의 금융 완화정책 변동성 등이 성장률을 제약할 것이라고 했다.
중국은 올해 5.5%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며 중국 당국이 목표로 삼은 '5% 내외' 성장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종전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4.8%)에서 0.7%포인트 높였다. 지난해 중국의 경제성장률(3%)이 워낙 낮았던 데다 중국 당국의 내수 활성화 정책과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가 나타날 것이란 예상에서다.
다만 중국의 리오프닝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이전보다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김흥종 KIEP 원장은 "중국 경제가 회복하고 있지만 내수 중심 성장으로 정책 기조가 바뀌면서 우리나라를 포함해 중국과 함께 성장하는 주변국과의 상관관계가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며 "중국의 리오프닝이 전 세계 경제를 견인할 동인이라고 하기엔 그 부분이 약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KIEP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중국과 인접한 아세안 5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4.7%)를 0.2%포인트 낮췄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