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패정당' 프레임 적극 차단하지만 2030 지지율 빠지자 위기감 고조
이재명 지도부 '책임론'도…오늘 '쇄신 의총'서 개혁 요구 분출 전망
"미적대다 총선 필패"…'김남국 코인 논란'에 野 쇄신요구 비등
더불어민주당에서 김남국 의원의 거액의 가상자산 보유 논란이 갈수록 확산하면서 당내 쇄신 요구도 비등점을 향해 달아오르는 분위기다.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에 코인 논란까지 더해진 형국으로, 재창당 수준으로 탈바꿈하지 않으면 내년 총선은 필패로 귀결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는 분위기다.

여권에서 제기하는 '부패 정당' 프레임에 발목 잡히면 쉽게 헤어 나올 수 없다는 위기의식이 그 배경이다.

당초 민주당에선 코인 논란 초기만 해도 '가상 자산 거래엔 문제가 없다'며 김 의원을 옹호하는 기류도 있었다.

하지만 코인에 대한 과세 유예법안 발의 관련 이해충돌 논란에 코인 무상 지급이 게임업계 입법 로비 아니냐는 의혹까지 악재성 의혹이 줄줄이 터져 나오면서 분위기가 급반전했다.

무엇보다 김 의원이 한동훈 법무부 장관 인사청문회와 이태원 참사 보고를 받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 도중에 코인을 거래한 정황이 나오면서 엄호 태세는 아예 사라졌다.

진상조사단의 조사를 지켜보고 조치를 고민하자던 지도부도 윤리 감찰을 긴급 지시하며 칼을 빼 들었다.

김 의원에 대한 당내 비난 여론은 최근 여론조사에서 2030 지지율이 폭락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더욱 거세졌다.

김 의원 거취 문제도 벌써 거론되기 시작했다.

출당이나 탈당을 넘어 의원직 사퇴 요구까지 터져 나왔다.

계파색이 옅은 한 의원은 14일 통화에서 "의원직 사퇴까지 포함해 본인이 국민 눈높이에 맞춰 거취 정리를 해야 한다.

이대로 가면 당이 국민에게 외면당한다"고 말했다.

"미적대다 총선 필패"…'김남국 코인 논란'에 野 쇄신요구 비등
이재명 지도부도 비난의 화살을 맞고 있다.

지난 '돈 봉투' 사건에 이어 이번에도 초기 대응이 늦고 미온적이라는 불만이 팽배한 탓이다.

의혹이 일파만파 확산하는데도 사건이 불거진 지 6일 후에야 자체 진상조사단을 꾸리는 등 '늑장 대응'에 대한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 이재명 대표가 '사법 리스크'에 얽혀 있는 본인의 문제와 형평성 문제를 고민하는 데다 김 의원이 자신의 측근이라는 점 때문에 의혹이 터질 때마다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다는 의혹의 눈초리가 존재한다.

지도부에 대한 불만은 이날 오후 예정된 '쇄신 의총'에서 더욱 분출될 것으로 보인다.

원내 지도부가 해당 의총을 앞두고 의원들에게 쇄신 방안을 묻는 설문지를 돌린 결과 전체 의원의 약 90%인 150명 이상이 회신한 점도, 이 같은 분위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금권 선거' 방지를 위한 대의원제 축소안, 도덕성 문제에 대한 단호한 대처, 수사를 받거나 각종 의혹에 휩싸인 의원들에 대한 징계 기준 통일 등의 방안이 제안될 가능성이 있다.

한 재선 의원은 통화에서 "이 대표가 이번 사태에 대한 단호한 대처를 당 쇄신의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며 "그것이 당이 사는 길"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재선 의원은 "총선까지 11개월이나 남았는데 '돈 봉투' 의혹과 '코인 논란' 말고 다른 악재가 얼마든지 나올 것"이라며 "재창당 수준의 쇄신에 앞장서야 한다"고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