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카카오, '기업용 AI' 시장 진출 가속페달(종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나란히 서비스 출시 준비…네이버 "B2B 기업용 서비스"·카카오 "기업 보안에 방점"
이동통신 3사도 업무 생산성 제고에 AI 활용 확산…"기밀 입력 주의해야" 국내 양대 플랫폼 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기업용 인공지능(AI) 서비스 시장에서도 치열한 경쟁을 펼칠 전망이다.
양사 모두 물밑에서 상용 서비스 출시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8일 회사의 1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을 통해 올여름 차세대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X'의 출시 계획을 언급하면서 "하이퍼클로바X를 검색뿐 아니라 네이버 서비스 전반에 적용할 것이며 더 나아가 B2B(기업간거래) 기업용 서비스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최 대표는 "글로벌 피어(동종업계)가 해결해주지 못하는 주문제작(customization)과 데이터 보호 관련 이슈들을 더욱 잘 해결하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특히 일본에서는 연내 라인웍스, 네이버웍스와 같은 생산성 도구에 하이퍼클로바X를 접목한 기업향(기업을 위한)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라며 "이를 위해 현재 네이버의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AI와 결합한 플랫폼으로 확장하는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라고 소개했다.
카카오의 IT 서비스 자회사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도 일부 기업·기관을 상대로 기업용 초거대 AI를 바탕으로 한 '비공개 시험 서비스'(CBT·클로즈드베타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관계자는 "기업의 민감한 정보를 지킬 수 있는 보안에 방점을 둔 서비스"라며 "출시일은 미정"이라고 말했다.
AI를 미래 먹거리로 점찍은 네이버와 카카오가 챗GPT와 같은 생성 AI를 업무에 도입해 생산성을 높이려는 기업의 수요에 부응하며 관련 시장을 선점하려는 경쟁이 본격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SK텔레콤은 챗GPT의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이용해 사내 전용 챗봇을 도입하며 초거대 AI를 업무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KT도 지난달 초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사내 네트워크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다고 안내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달 말 GPT 업무 활용 가이드라인을 사내 공지하고, 공개된 정보와 익명화된 사용패턴, 통계 데이터는 활용이 가능하지만, 개인정보나 영업기밀은 입력에 주의할 것을 강조했다.
앞서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는 지난달 말 공식 블로그를 통해 기업형 구독 모델인 '챗GPT 비즈니스'가 곧 출시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연합뉴스
이동통신 3사도 업무 생산성 제고에 AI 활용 확산…"기밀 입력 주의해야" 국내 양대 플랫폼 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기업용 인공지능(AI) 서비스 시장에서도 치열한 경쟁을 펼칠 전망이다.
양사 모두 물밑에서 상용 서비스 출시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8일 회사의 1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을 통해 올여름 차세대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X'의 출시 계획을 언급하면서 "하이퍼클로바X를 검색뿐 아니라 네이버 서비스 전반에 적용할 것이며 더 나아가 B2B(기업간거래) 기업용 서비스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최 대표는 "글로벌 피어(동종업계)가 해결해주지 못하는 주문제작(customization)과 데이터 보호 관련 이슈들을 더욱 잘 해결하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특히 일본에서는 연내 라인웍스, 네이버웍스와 같은 생산성 도구에 하이퍼클로바X를 접목한 기업향(기업을 위한)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라며 "이를 위해 현재 네이버의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AI와 결합한 플랫폼으로 확장하는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라고 소개했다.
카카오의 IT 서비스 자회사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도 일부 기업·기관을 상대로 기업용 초거대 AI를 바탕으로 한 '비공개 시험 서비스'(CBT·클로즈드베타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관계자는 "기업의 민감한 정보를 지킬 수 있는 보안에 방점을 둔 서비스"라며 "출시일은 미정"이라고 말했다.
AI를 미래 먹거리로 점찍은 네이버와 카카오가 챗GPT와 같은 생성 AI를 업무에 도입해 생산성을 높이려는 기업의 수요에 부응하며 관련 시장을 선점하려는 경쟁이 본격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SK텔레콤은 챗GPT의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이용해 사내 전용 챗봇을 도입하며 초거대 AI를 업무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KT도 지난달 초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사내 네트워크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다고 안내했다.
LG유플러스는 지난달 말 GPT 업무 활용 가이드라인을 사내 공지하고, 공개된 정보와 익명화된 사용패턴, 통계 데이터는 활용이 가능하지만, 개인정보나 영업기밀은 입력에 주의할 것을 강조했다.
앞서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는 지난달 말 공식 블로그를 통해 기업형 구독 모델인 '챗GPT 비즈니스'가 곧 출시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