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국방부에 먼저 공사 중단 건의·주민설명회 개최 요구
창원 도심 미군 사격장 공사에 반발 확산…"당장 폐쇄하라"
경남 창원 도심에 주한미군 소총 사격장이 조성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역 주민과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반발이 거세진다.

사격장 조성 사실을 몰랐다던 창원시는 뒤늦게 국방부에 협조 공문을 보내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주한미군 전용 소총 사격장 건설 반대 범시민연대(아하 범시민연대)는 4일 오전 창원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주한미군은 사격장 공사를 중단하고 폐쇄하라"고 촉구했다.

범시민연대는 "사격장이 들어서는 곳은 창원 도심 한가운데로 1㎞ 주변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들을 비롯해 쇼핑 시설과 버스터미널, 공단 등이 있다"며 "아파트 창문을 열면 훤히 보이는 사격장에서 언제 유탄이 날아올지 모를 위험 속에서 살아야 한다.

주민 생활 터전이 훤히 보이는 사격장은 상상이 아니라 현실이다"고 말했다.

이어 "주한미군 시설이라는 이유로 사격장 면적과 훈련 빈도도 알 수 없다.

지금은 소총 사격장이라고 하지만 이후 다른 용도로 바뀌어도 주한미군이 주한미군지위협정(SOFA·소파) 협정을 내세우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며 "시민 안전이 위협받는데도 사업 내용을 알 수 없다는 창원시 모습에 참담함을 느낀다.

창원시는 사격장 폐쇄에 적극 나서고 주한미군은 공사를 당장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창원 도심 미군 사격장 공사에 반발 확산…"당장 폐쇄하라"
사격장 인근 주민들은 대책위원회를 꾸리는 등 이번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인근 주민 김진영(54)씨는 "도심 한가운데에 사격장이 조성되는데 창원시가 시민에게 내용을 알리지 않고 또 이를 알지도 못했다는 사실에 더욱 황당하다"며 "현재 주변 주민들과 대책위를 구성하고 있으며 추후 집회 등 단체 행동도 계획 중이다"고 말했다.

이날 집회에 참여한 김지수 더불어민주당 의창구 지역위원장은 "창원시는 주한미군의 사격장 조성을 몰랐다고 하지만 주기적으로 항공 촬영을 해야 하는 지자체에서 이 사실을 몰랐을 리 없다"며 "창원시가 언제 인지하고 어떤 대응을 했는지 밝혀야 한다.

계속 소파 협정 뒤에 숨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주민 민원과 반발이 확산하자 창원시는 국방부, 주민 등과 소통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창원시는 이날 국방부에 전달한 건의문을 통해 "103만 창원시민과 사격장 인근에 거주하는 10만 시민들로부터 안전과 소음 문제를 우려하는 민원이 빗발치고 있다"며 공사 우선 중단을 공식 건의했다.

그러면서 "의창구 팔용산에 있는 사격장은 1972년 조성 당시 창원시가 계획도시로 발돋움하기 전이었고 팔용산 인근에 사는 시민들은 거의 없었다"며 "그러나 현재는 인근 1.5㎞ 이내 4천500가구가 넘는 아파트 단지와 쇼핑 시설, 병원, 공단이 밀집해 있어 10만여명의 시민이 살고 있고,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는 최단 거리가 1㎞ 이내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또 "미군 사격장 개선공사가 완공되고 나면 소음피해는 물론이고 아파트 베란다에서 사격장을 한눈에 볼 수 있어 보안상 문제가 우려된다"며 "시민들의 안전 문제로 사격장 이전 요구도 더욱더 확산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창원 도심 미군 사격장 공사에 반발 확산…"당장 폐쇄하라"
이어 "현재 인근에 사는 시민들은 '총세권에서는 못산다'는 등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며 "안전과 재산권 보호 등 시민 우려 사항 해소를 위해 먼저 공사 중단 조치를 해달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국방부 주관 창원시 참여하에 현장 조사 및 주민설명회 개최와 근본적 문제 해소를 위한 사격장 이전을 검토해줄 것을 건의한다"며 "창원시는 시민의 안전을 지켜야 할 책무가 있으므로 정부는 창원시민의 목소리를 경청해달라"고도 덧붙였다.

주한미군 측은 사격장 운영과 공사 계획 등을 묻는 연합뉴스 취재진 질문에 "이번 사격장 보수 공사는 안전벽을 개선하고 배수 시설을 개선하는 것으로 2024년 7월 완료될 계획이다"며 "주민 설명회 등은 국방부와 계속 협력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