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제마진·파라자일렌 스프레드 개선에 전분기 대비 흑자 전환
배터리 적자 소폭 확대…2분기 이후 美 IRA 수혜 반영시 수익성 개선 기대
SK이노 1분기 영업이익 77.3%↓…배터리는 분기 최대 매출(종합)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사업(SK온)이 분기 최대 매출액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SK이노베이션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천75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77.3%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4일 공시했다.

이는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1천351억원을 177.5% 웃도는 수준이다.

매출은 19조1천429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7.7% 증가했다.

순손실은 520억원으로 적자로 돌아섰다.

전 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액은 62억원 늘었고, 영업이익은 1조1천399억원 증가하며 흑자 전환했다.

SK이노베이션은 "정제마진과 파라자일렌(PX) 스프레드 개선 효과가 석유, 화학사업의 안정적 매출 증대와 영업이익 개선 효과로 나타나 (전 분기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며 "배터리 사업은 분기 최대 매출액을 달성하며 수익성 개선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순차입금은 배터리 사업 투자 지출 확대 등으로 전년 말 대비 1조362억원 증가한 15조5천510억원을 기록했다.

SK이노 1분기 영업이익 77.3%↓…배터리는 분기 최대 매출(종합)
사업별로 보면 석유 사업은 전 분기보다 9천360억원 증가한 2천748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며 흑자 전환했다.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산유국의 원유 판매 고시 가격(OSP) 하락 영향 등으로 정제마진이 개선되고, 유가 하락세 완화에 따른 재고 관련 손실 축소로 영업이익이 개선됐다.

화학 사업도 PX 마진 상승 등으로 전 분기 대비 1천973억원 증가한 1천89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흑자 전환했다.

윤활유 사업은 판매경쟁 심화 등으로 2천592억원의 영업이익을, 석유개발 사업은 매출원가 증가 영향으로 1천135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데 그쳤다.

배터리 사업은 작년 신규 가동을 시작한 공장들의 램프업(생산량 확대)에 따라 매출이 전 분기 대비 4천297억원 증가한 3조3천53억원을 기록하며 분기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

일회성 비용 증대로 3천447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 폭이 확대됐으나, 배터리 판매량 증가와 신규 공장 수율 향상으로 영업이익률은 개선됐다.

2분기에는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본격화와 여름철 드라이빙 시즌에 따른 석유제품 수요 증가로 정제마진이 양호할 것으로 예상된다.

화학 사업도 중국 내수 활성화 기대로 PX뿐 아니라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의 스프레드 개선 효과가 나타날 전망이다.

배터리 사업은 해외 신규 공장의 추가 램프업으로 매출과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에 따른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 수혜 효과가 회계에 반영되며 추가적인 손익 개선이 이뤄질 전망이다.

김양섭 SK이노베이션 재무부문장은 "올해 변동성이 높은 상황에서도 운영 최적화로 수익성을 개선하며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할 계획"이라며 "청정에너지 생산, 탄소배출 감축, 순환경제 중심의 친환경 포트폴리오 개발과 기업가치 제고 중심의 경영활동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