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개혁연대 "낙하산·경영진 권력화 방지 위한 제도 필요"
"KT, 이사 선임 이원화하고 대표의 사내이사 추천권 폐지해야"
KT가 새로운 지배구조 논의가 한창인 가운데 정권 낙하산 차단과 경영진의 자기 권력화 방지를 위해 이사회 구성 단계부터 제도적 수단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경제개혁연대는 2일 보고서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한 KT 거버넌스 개선 과제'를 내고 이사 선임 시 회사 제안 후보는 주주 총회의 특별 결의로 선임하고 주주 제안 후보는 보통 결의로 선임하는 이원화, 주주의 이사 후보 추천이 제약되지 않도록 이사 수 상한(11인) 및 시차 임기제 규정 폐지를 제안했다.

현재 대표이사에게 지나치게 권한이 집중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표이사의 사내이사 추천권 폐지, 사외이사 독립성 강화를 위해 KT 계열사 임직원 출신의 사외이사 선임 금지도 제시했다.

아울러 주주 제안 및 대표 소송 관련 소수 주주권 요건의 완화, 임원 보수 정책의 상세한 내용의 공개, 자기 주식은 소각 이외 목적으로 보유 금지를 대안으로 내놨다.

KT는 차기 대표이사 후보의 잇단 사퇴로 경영진 공백 사태를 맞자 지난 3월 박종욱 경영기획부문장(사장) 대표 대행을 중심으로 비상 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최근에는 주요 주주로부터 외부 전문가 5명을 추천받아 '뉴 거버넌스 구축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지배구조 개선 작업을 벌이고 있다.

한편, 소수 노조인 KT 새노조는 이날 입장문에서 사퇴한 구현모 전 KT 대표가 "홈페이지에 여전히 대표이사, 사내이사로 소개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KT 사측은 "상법에서는 차기 대표이사가 공식 선임되기 전에는 직전 대표가 대표이사 및 사내이사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구 전 대표가 사임한 만큼 실제 경영에는 관여하지 않고 있다"고 반박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