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점 발견시 일본규제위원회에 항의할 것"
원안위 "日 오염수 방류전에 '방류계획 자체검토 결과' 발표"
정부가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방출을 과학기술 측면에서 객관적으로 자체 검토한 결과를 일본의 해양 방류에 앞서 공개하기로 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6일 후쿠시마 오염수 대응현황 설명회를 열고 이런 계획을 공개했다.

정부는 일본 원전 오염수 방출에 대응하기 위해 국무조정실 주관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대응하고 있다.

원안위는 TF에서 해양감시와 과학기술적 검토를 담당하고 있으며,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검토팀과 함께 방출계획 전반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체 검토에서는 일본 측 자료 등을 토대로 오염수 처리설비인 다핵종제거설비(ALPS) 성능, 해양방출 시설, 방출 전 측정 핵종 선정과 분석방법, 환경평가, 해양모니터링 계획 등을 들여다보고 있다는 설명이다.

진행 중인 자체 검토 결과는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진행 중인 오염수 방류계획 평가의 최종 보고서 발간 후가 될 거라고 원안위는 설명했다.

일본은 오염수 방류의 전제조건으로 방출 설비의 공사 완료와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NRA) 승인, IAEA의 최종보고서 발간 등 3가지를 꼽고 있다.

원자력계에 따르면 IAEA의 최종 보고서는 이르면 6월 말께 나올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일본의 해양 방류 시점은 이 뒤인 7월 이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신재식 원안위 방사선방재국장은 "IAEA는 기본적으로 조사 결과 발표 전 개별 국가의 분석 결과를 발표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며 "보고서가 나온 후 보고서뿐 아니라 일본과의 질의응답, KINS 자체 분석 등을 종합해 가능한 한 빨리 결과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원안위는 검토 과정에서 미흡한 점이 확인되면 자체적으로 일본의 규제기관 검토 과정 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임승철 원안위 사무처장은 "검토 결과 문제점이 발견되면 일본규제위원회에 항의하고 승인 과정에서 제대로 확인이 이뤄졌는지 여부에 대해 분명히 이야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검토 결과를 토대로 일본의 해양 방류 자체에 문제를 제기할지 여부는 범정부 TF에서 결정할 사안이라고 원안위는 설명했다.

IAEA는 일본 NRA의 규제 과정을 점검하는 5차 보고서와 오염수 성분을 한국과 미국 등에서 교차검증한 6차 보고서를 5월 중 공개하고, 지금까지 나온 보고서를 종합해 최종 보고서를 낸다는 계획이다.

이중 KINS에서 참여해 진행한 오염수 분석 결과는 지난 14일 제출한 상태라고 원안위는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