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4일 한국경제신문과 만나 “미국 반도체 기업(AMAT) 연구개발(R&D)센터의 국내 유치가 결정된 상태”라며 “한·미 간 ‘첨단기술동맹’의 분명한 사례”라고 밝혔다.

안 본부장은 “한국이 미국에 투자를 하는 만큼 미국 또한 한국에 첨단기술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며 “넷플릭스가 한국에 3D(3차원) 스튜디오를 만들기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내 반도체 기업 또한 생산시설 일부를 미국에 투자하면서 시스템 반도체 등 미국 원천기술을 받아들여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한국의 제조 역량과 미국의 원천기술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경제동맹 업그레이드가 중요한 상황”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세계 경제가 안보를 화두로 전면 재편되고 있는 시점에 한·미 첨단기술동맹은 가장 중요한 중심축”이라고 강조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업그레이드한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추진에 속도를 내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그는 “한·미 FTA가 경제영토를 넓힌 개념이었다면 IPEF는 그 위에 첨단 고부가가치 상품이 지나다니는 고속철도망(공급망)을 까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중국 무역과 관련해서는 “대부분의 대중 통상 관계는 여전히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요하다”며 “한·중 간 통상 관계도 안정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한신 기자 p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