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2기에서 아리랑 5호·차세대중형위성 1호 등 운영 업무 이관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5호 등 저궤도 위성을 운영하는 주요 업무가 제주에도 이뤄진다.

제주 국가위성운영센터, 저궤도 위성 운영 업무 '전담'
국가위성운영센터는 오는 6월 아리랑 5호와 차세대중형위성 1호의 관제, 수신, 영상처리 및 배포 등의 운영 업무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로부터 순차적으로 넘겨받을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

제주시 구좌읍에 있는 국가위성운영센터는 대전 항우연 시설의 관제·수신 업무가 포화상태에 이르자 국가 저궤도 인공위성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통합 운영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구축한 시설이다.

현재 아리랑 3호와 3A호 등 2기의 관제 등 운영 업무를 수행 중이다.

국가위성운영센터는 위성 운영을 위한 종합관제실, 임무 관제·정보 수신·영상처리 등을 위한 데이터 서버와 안테나 3기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국가위성운영센터는 위성 수 증가에 따라 위성 관제, 영상처리 네트워크, 보안 등 첨단기술 전문 인력을 지속해서 늘릴 계획이다.

국가위성운영센터는 앞으로 위성영상 검정·보정 시설 구축, 위성정보 빅데이터 생산, 위성정보 활용 기술 연구개발, 재난 재해 대응 지원 등을 위한 위성 운영 고도화를 수행한다.

또 우주산업 기반 마련과 제주지역 관련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4차 국가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에 따르면 국내 저궤도위성은 현재 4기에서 2030년 70여 기까지 늘어나게 된다.

아리랑 6호·7호, 차세대중형위성 2호·3호·4호·5호 등 다수의 초소형 위성이 순차적으로 발사될 예정이다.

이에 따른 위성의 한반도 상공 방문 주기도 평균 12시간에서 0.5시간으로 매우 짧아지고 연간 획득 하는 관측 영상 정보의 양도 10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은 "국가위성운영센터는 앞으로 획기적으로 증가할 다수 저궤도 국가 위성을 안정적,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핵심 시설"이라며 "단순히 위성 운영에 그치지 않고 국내 위성이 획득한 정보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한 첨단 연구개발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