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방안' 발표…마이스터대 도입
의료AI 등 융복합 교육·실습·연구, 의사과학자 지원 확대
바이오헬스, 제2의 반도체로…5년간 11만명 인재 양성 목표
정부가 바이오헬스 분야를 반도체 산업에 이은 국가의 차기 주력 산업으로 키운다는 목표로 향후 5년간 바이오헬스 핵심 인재 11만명 양성을 추진한다.

바이오헬스 마이스터대 도입 등을 통한 학교 교육부터 현장 실습, 석·박사급 연구 인재까지 맞춤형 지원을 확대하고 중장기적인 지원 기반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6일 제20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방안'을 발표했다.

◇ 세계 바이오헬스 시장규모 2천600조원…고령화에 급성장 전망
이번 인재양성 방안은 지난 2월 말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회의에서 발표된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의 후속 조치 중 하나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세계 바이오헬스 시장 규모는 2천600조원으로, 전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와 건강관리 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2027년까지 연평균 5.4%의 급속한 성장이 전망된다.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이 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기준으로 제약 분야는 1.7%, 의료기기는 1.8%이라, 급성장하는 시장 환경에서 발전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이날 발표한 2022년 보건산업 수출 실적에 따르면 의약품과 의료기기, 화장품을 합친 보건산업 수출액은 작년 242억달러(약 31조9천만원)를 기록했다.

역대 최고였던 2021년 254억달러보다는 소폭 줄었으나 역대 두 번째 수출 실적이다.

특히 의약품 분야가 2021년 70억달러에서 작년 81억달러로 14.8% 증가했으며, 그중에서도 백신 수출(9억4천만달러)이 81.3%, 바이오의약품 수출(36억3천만달러)도 7.5% 늘었다.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의 성장에 따른 인력 수요와 직전 연도의 퇴사 등 자연적으로 발생한 수요를 함께 고려해 앞으로 5년간 인재 10만8천명이 필요할 것으로 추계하고 핵심인재 11만명 양성 목표를 설정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바이오헬스는 반도체보다 더 큰 미래 유망 신산업으로 국민 건강과 국가 안보에서도 중추적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바이오헬스, 제2의 반도체로…5년간 11만명 인재 양성 목표
◇ 바이오헬스 마이스터대 도입…대규모 생산 실습실 구축
11만명 인재 양성을 위해 우선 산업 현장에 기반한 학교 교육을 제공하는 '바이오헬스 마이스터대'를 올해 2개교·6개 학과로 도입한다.

마이스터대는 고숙련 전문기술 인재를 육성하고자 전문대학 내 일부 학과에서 직무 중심의 고도화한 교육 과정을 편성·운영하는 대학을 뜻한다.

또한 특성화고·마이스터고와 공공·민간 실습시설 연계 등을 통해 실습 교육을 확대하고, 디지털 치료기기 등 기술 간 융합에 대응해 혁신융합대학 체계를 만들 계획이다.

혁신융합대학은 여러 대학에 흩어진 첨단분야 교육 자원을 공동으로 활용해서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말한다.

아울러 기업 맞춤형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바이오헬스 중소기업 계약학과를 지난해 6개과에서 올해 8개과로 늘린다.

산업단지 내에 바이오헬스 학과를 조성하는 산학융합지구는 올해 충북, 내년에 충북 및 강원지구를 구축해서 학교 교육과 산업 현장 연계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바이오헬스 산업 현장에 즉시 투입할 수 있는 생산·규제 과학 인재를 키우기 위해 한국형 나이버트(K-NIBRT, National Institute for Bioprocessing Research and Training), K-바이오 트레이닝센터(가칭) 등 대규모 생산공정 실습 시설을 신규로 만들고, 첨단의료복합단지 등 기존에 구축된 공공 시설과 연계해서 대학과 민간이 실습 역량을 강화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전문 역량을 갖춘 규제과학 인재 양성을 위해 의약품·의료기기 산업별 전문 규제과학 교육을 제공하고, 규제과학 혁신 근거 법률을 마련하며, 한국규제과학센터의 기능을 확대한다.

바이오헬스, 제2의 반도체로…5년간 11만명 인재 양성 목표
◇ 의사과학자 양성체계 강화…지역 인재 육성→취창업 연계
바이오헬스 기술의 '초격차'를 확보하기 위한 핵심 연구 인재를 키우는 방안도 중점적으로 담겼다.

인공지능(AI) 기술이 의료현장에서도 적용될 것에 대비해 의료 인공지능 등 첨단·융복합 특화교육을 강화하고 제약·의료기기 특성화대학원 등 석·박사급 연구인재 양성과정을 늘린다.

우수한 보건의료 연구개발(R&D) 결과를 의료현장으로 연계하는 의사과학자 육성을 위한 경력·단계별 양성체계도 강화한다.

대학중점연구소·두뇌한국 21·선도연구센터 등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바이오헬스 연구를 지원하며, 지역자원을 활용해서 바이오헬스 지역 인재를 양성해 취업·창업과 연계한다는 계획이다.

대학과 지역이 협력해 바이오헬스 지역인재를 키우고 제약바이오 박람회, 첨단의료복합단지 내 창업지원센터 등을 통해 인재들의 취·창업을 돕는 것이다.

아울러 '바이오헬스 인재양성 협의체'를 구성하고 정책 연구 등을 통해 중장기 지원 기반을 만들기로 했다.

조 장관은 "끊임없는 기술 혁신이 일어나는 역동적 산업인 만큼 산업현장, 교육계 등과 소통해 변화를 반영한 인재양성 정책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