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산업·외교장관, 실사단 줄줄이 면담…국회는 지원 결의
재계 총출동해 실사단 환대…최태원, 5개국 와인 준비해 분위기 띄워
‘부산엑스포 유치 성공을’…한마음 한뜻 뭉친 정부·국회·재계
국제박람회기구(BIE) 실사단이 '2030년 세계박람회(엑스포)' 개최 후보지인 부산 실사를 위해 한국에 방문한 지 이틀째인 3일 정부·국회·재계가 합심해 실사단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총력전을 펼쳤다.

BIE 실사단 단장인 파트릭 슈페히트 행정예산위원장을 비롯해 디미트리 케르켄테즈 사무총장, 케빈 아이작 세인트키츠네비스 대표, 마누엘 잘츠리 스위스 대표, 페르디난드 나기 루마니아 대표 등 8명의 실사단원은 이날 첫 일정으로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만났다.

이후 같은 장소에서 안덕근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과 윤상직 2030부산세계박람회유치위원회 사무총장은 약 2시간 30분에 걸쳐 실사단에 유치 계획을 발표하고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이어 실사단은 외교부와 국회를 찾아 박진 외교부 장관, 한덕수 국무총리를 잇달아 면담했다.

정부에서 총리를 비롯해 장관급 인사들이 실사단을 극진히 영접한 것은 윤석열 대통령의 특별한 당부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날 윤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실사단의 방한 일정 지원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국무회의에서도 "국무위원은 모두 '엑스포 세일즈맨'이라는 자세로 최선을 다해 달라고 거듭 당부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엑스포 유치 성공을’…한마음 한뜻 뭉친 정부·국회·재계
정부 부처뿐 아니라 국회에서도 이날만큼은 한마음으로 힘을 보탰다.

김진표 국회의장은 이날 국회를 방문한 실사단을 약 1시간 동안 면담했다.

특히 국회는 이날 본회의에서 실사단이 방청하는 가운데 참석 의원 239명 전원의 찬성으로 엑스포의 성공적 유치와 개최를 위한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이 결의안을 실사단에 전달했다.

결의안에는 교통·환경 인프라 개선, 시설 건축과 사후 활용 방안 마련 사업에 적극 협력, 올해 11월 말로 예정된 개최지 선정 전까지 의원 외교 활동을 통한 대외 유치교섭 활동에 동참하겠다는 의지 등이 담겼다.
‘부산엑스포 유치 성공을’…한마음 한뜻 뭉친 정부·국회·재계
재계를 비롯한 민간에서도 실사단의 오감을 사로잡기 위해 뜻을 모았다.

2030부산엑스포 유치지원 민간위원장인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이날 신라호텔에서 실사단을 환영하는 오찬을 개최했다.

오찬에는 최 회장을 비롯해 삼성전자, SK, 현대자동차, LG, 포스코인터내셔널 등 주요 기업의 경영진이 총출동해 자리를 빛냈다.

최 회장은 "우리는 제대로 먹지 않으면 생각도, 사랑도, 잠자는 것도 제대로 못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며 "한국 최고의 맛을 보여드리고 싶었다"고 실사단을 환영했다.

최 회장은 스위스와 루마니아, 독일, 그리스, 영국 등 5개국에서 생산된 와인을 내놓고 "어느 와인이 어디 산인지는 직접 알아맞히셔야 할 것 같다"고 '깜짝 퀴즈'를 내며 분위기를 띄우기도 했다.

오찬장에서는 실사단의 길 안내를 위해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4족 보행 로봇 '스팟'이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한국이 편안하고 아름다운 국가라는 느낌을 주면서도 첨단산업 강국이라는 이미지를 동시에 내세운 전략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와 LG 등은 부산 등에서 현수막과 전광판 등을 통해 부산엑스포 유치를 응원하는 광고를 했다.
‘부산엑스포 유치 성공을’…한마음 한뜻 뭉친 정부·국회·재계
실사단은 방한 사흘째인 4일에는 부산으로 내려가 을숙도 생태공원을 탐방하고 유치위의 2차 유치계획 발표를 청취한 뒤 박형준 부산시장이 주재하는 만찬에 참여할 예정이다.

BIE 실사단은 후보국의 유치 역량과 준비 수준, 국민적 관심도 등을 심층 평가해 보고서를 작성한다.

한국에 대해 잘 모르는 국가는 기본적으로 실사단 보고서를 바탕으로 지지국을 결정할 개연성이 크다.

그만큼 얼마나 실사단의 마음을 사로잡았는지가 유치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현지실사 평가 내용이 담긴 보고서는 오는 6월 BIE 총회에서 회원국 171개국에 배포된다.
‘부산엑스포 유치 성공을’…한마음 한뜻 뭉친 정부·국회·재계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