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까지 요구하는 신청서 힘들어…美 패키징 공장은 계획대로 추진"
對중국 수출통제 규제 유예 조치는 "또 신청하겠다"
SK하이닉스 박정호 대표 "미국에 반도체 보조금 신청 고민 중"(종합)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은 미국 반도체법에 따른 투자 보조금 신청 여부를 고민 중이라고 29일 밝혔다.

그는 이날 경기 이천 SK하이닉스 본사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 후 미국 반도체 보조금 신청 계획을 묻는 기자들 질의에 "많이 고민해보겠다"고 답했다.

미국 정부는 반도체법 지원금 신청 기업에 수익성 지표뿐 아니라 영업 기밀일 수도 있는 수율까지 요구하며 이를 엑셀 파일 형태로 제출하도록 했다.

박 부회장은 "엑셀도 요구하고, 신청서가 너무 힘들다"면서도 "패키징이어서 전체 수율이 나오는 것은 아니니 실제로 그 안에 (전공정) 공장을 지어야 하는 입장보다는 (부담이) 약간 덜 할 수 있다"고 말했다.

SK하이닉스는 미국에 메모리 반도체 첨단 패키징(후공정) 제조시설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아직 부지 등 세부 내용은 정해지지 않았다.

공장 부지 선정에 대해 박 부회장은 "리뷰가 거의 주별로 끝나서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시설 건립을 계획대로 추진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이 패키징 기술에 중요해지고, HBM을 요구하는 기업들이 미국에 있다 보니까 (공장 부지를) 미국에 선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중국에 생산 거점을 둔 SK하이닉스는 미국 정부가 작년 10월 발표한 대중(對中) 반도체 첨단 장비 수출통제 조치에 대해 1년 유예 조치를 받았다.

이와 관련해 박 부회장은 "한미 정부 간 조금 더 이야기해야 할 것 같고, 우리는 우리대로 시간을 벌면서 경영 계획을 조금 더 변화시킬 것"이라며 규제 유예 조치에 대해서는 "1년 뒤에 또 신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부회장은 주총에서도 미중 반도체 패권 갈등이 촉발한 지정학 리스크에 대해 "한 회사가 대응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면서도 "각국 정부와 고객 니즈에 반하지 않으면서 최적 해법을 찾기 위한 노력을 매일 한다"고 강조했다.

SK하이닉스 박정호 대표 "미국에 반도체 보조금 신청 고민 중"(종합)
최근 인텔이 DDR5가 적용되는 신형 중앙처리장치(CPU)를 출시하는 등 서버용 D램 주력 제품이 기존 DDR4에서 DDR5로 세대교체가 이뤄지고 있다.

특히 AI에 기반한 신규 서버용 메모리 수요 증가에 업계는 기대를 걸고 있다.

박 부회장은 "현재 서버 시장에서 고성능 고용량 메모리 채용이 증가하고 있다"며 "인공지능(AI)과 챗봇 등 신규 수요가 확대되면 올해 DDR5가 명실상부한 주력 제품 포트폴리오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도체 업황은 하반기에 개선이 기대되지만 불확실성도 여전해 비용을 최적화하는 등 유연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박 부회장은 "설비투자(CAPEX) 지출은 전년도 19조원 정도에서 올해는 50% 이상 절감된 투자를 계획한다"며 "운영비용(OPEX)도 모든 비용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있으며, 지난 10년간 연평균 10% 이상 성장한 OPEX를 올해 처음으로 전년 대비 감소하는 환경을 만들어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공급 측면에서는 작년부터 이어진 메모리 업체 투자 생산 축소에 따른 공급량 축소 효과가 가시화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고객들 재고도 점차 소진되고 있어 점차 정상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만 "하반기 업황 개선 요인은 있지만 최근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크레디트스위스(CS) 인수합병(M&A) 등을 보면 거시경제가 예기치 못한 이벤트로 인해 전체적인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도 공존한다"고 덧붙였다.

SK하이닉스는 이날 주총에서 재무제표 승인, 사외이사·감사위원·기타비상무이사 선임, 이사 보수 한도 승인 등 모든 안건을 원안대로 가결했다.

한애라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사외이사로 재선임하고, 김정원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과 정덕균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석좌교수를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했다.

또 기타비상무이사로 박성하 SK스퀘어 사장을 신규 선임했다.

주총 기준일인 작년 12월 31일 기준 SK하이닉스 주주는 100만7천93명으로 처음 100만명을 넘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