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부위원장 "글로벌 금융시장 판도변화…한국에 기회"(종합)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의 판도 변화를 기회로 삼아 국내 금융투자 회사들이 강점을 살려 해외로 진출한다면 승산이 있는 도전이 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14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금융투자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향' 세미나에 참석해 "과거 수십 년간 공고하게 유지돼 왔던 전통 금융권 중심의 글로벌 금융시장 판도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이처럼 말했다.

그는 "변화의 중심에는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블록체인 등 새로운 기술과 빅테크, 핀테크 등 다양한 플레이어, 그리고 다양한 취향과 투자수요를 가진 투자자들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 부위원장은 "영미계 금융회사가 수백 년의 레거시(유산)를 쌓아온 전통적인 자본시장 분야, 즉 '그들의 홈그라운드'가 아니라 '새로운 운동장에서 새로운 경쟁자들'과 무한 경쟁을 해야 하는 시기가 도래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의 강점인 '소프트 파워'와 ICT 등 글로벌 선도 분야를 바탕으로 우리 금융투자업만이 가질 수 있는 핵심 경쟁력을 갖추고 해외 시장과 그 투자자들의 특성에 맞는 진출전략을 결합해 꾸준히 추진해 나간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는 도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업계 스스로가 '글로벌 시장을 주도할 금융투자업자'로서 스스로의 비전과 역할을 재정립하는 담대한 목표설정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전날 열린 금융산업 글로벌화 태스크포스(TF) 회의의 후속 조치로 개최된 이날 세미나에서는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이 직접 기조 발표자로 나서 자본시장 및 금융투자산업의 현황을 평가하고 향후 추진 목표를 제시했다.

서 회장은 "국내 자본시장의 외형적 성장에도 예금 중심의 가계 금융자산 구조, 글로벌 경쟁력 부족, 낡은 자본시장 인프라와 규제 등 한계 요인이 여전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 10년 내 아시아 상위 3위권 수준의 금융투자회사 배출 ▲ 연금·자산관리 활성화를 통한 국민 노후준비 지원 ▲ 공모펀드 경쟁력 강화 및 사모펀드 성장 지원 ▲ 대체거래소(ATS) 인가를 비롯한 자본시장의 질적 향상 ▲ 투자자 보호 강화 등 금융투자업 추진 목표 5개를 제시했다.

국내 증권사의 해외 기업금융(IB) 발전과 자산운용사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도 논의됐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증권회사들은 과거 10년간 양적 성장을 이뤘으나 중소기업 여신 등 모험자본 공급은 부족하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무보증 영업에 집중하는 등 질적 성과는 못 미쳤다"며 외국환·법인지급결제 등으로 IB의 업무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준서 동국대 교수는 자산운용사의 대형화·국제화, 일반사모펀드와 기관전용 사모펀드의 통합, 투자 신탁형에서 투자회사형으로 전환 등을 강조했다.

금융위는 향후 세미나에서 기존 해외진출 성공사례 등을 토대로 구체적인 추진 과제를 논의할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