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포획에 의한 개체수 조절 정부에 건의
"텃새화된 민물가마우지,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해달라"
철새인 민물가우지가 텃세화되면서 내수면 어민 등의 피해가 발생하자 강원도가 유해 야생동물 지정을 요청하고 나섰다.

도는 민물가마우지를 포획해 개체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해달라고 최근 환경부에 건의했다고 12일 밝혔다.

현재 민물가마우지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포획 금지 대상이다.

도가 민물가마우지를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해달라고 요구한 것은 10여년 전부터 겨울철새에서 기후 및 환경변화에 따라 텃새화돼 정착하면서 어민 피해 등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환경부는 민물가마우지와 공생한다는 원칙에 따라 둥지를 사전에 제거하는 비살생 방법에 의한 개체수 조절만 허용하고 있는데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하면 포획에 의한 개체수 조절이 가능해진다.

도가 지난해 강원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한 결과 민물가마우지는 도내 9개 시군 하천과 호수, 저수지 등 42곳에서 2만마리 이상이 서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청평호 상류를 포함해 홍천강 유역에는 1만여마리가, 춘천 소양강 하류에는 2천여마리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텃새화된 민물가마우지,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해달라"
도내 내수면 어획량은 2017년 933t에서 2021년 613t으로 감소했는데 이는 최근 텃새화한 민물가마우지의 영향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강원도는 추정했다.

평소 하루 700g의 물고기를 잡아먹는 가마우지는 번식기에는 하루 1㎏을 먹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물가마우지 집단 서식지에서는 배설물 때문에 나무가 하얗게 말라 죽는 '수목 백화현상'까지 발생해 자연경관을 해치고 있다.

원주시 흥업면 매지저수지 내 거북섬의 경우 민물가마우지 배설물로 나무들이 모두 고사하자 다시 나무를 심어 복원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텃새화된 민물가마우지,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해달라"
춘천시 소양강 하류에서 겨울철 환상적인 상고대를 연출하던 버드나무 군락은 민물가마우지가 집단 서식하면서 사라질 처지에 놓였다.

도는 올해 사업비 2억원을 마련해 민물가마우지 집단 번식지의 둥지를 산란철 이전에 제거할 인력을 배치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민물가마우지를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하더라도 다 잡는 것이 아니라 적정 개체수를 유지하는 선에서 포획이 이뤄지도록 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텃새화된 민물가마우지,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해달라"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