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산불 1년] ① 다시 찾아온 봄…더딘 복구, 갈 길 먼 일상 복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만4천㏊ 피해 울진, 복구는 '먼길'…167가구 여전히 임시조립주택 생활
강릉·동해·삼척도 복구율 절반…산사태 우려지역 응급조치 서둘러
[※편집자 주 = 지난해 3월 4∼13일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강릉과 동해에서 발생한 '동해안 산불'로 산림 2만523㏊가 잿더미가 되고 500명이 넘는 이재민이 삶의 터전을 잃었습니다.
연합뉴스는 산불 발생 1년을 앞두고 복구 현황과 이재민들의 생활, 산불 원인 수사 및 재판 진행 상황, 기후 변화와 산림 특성 등 다양화하는 산불 원인, 예방대책 등을 짚어보는 기획 기사 6편을 송고합니다.
]
지난해 3월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강릉, 동해에서 산불이 발생한 지 1년이 다 됐지만, 복구는 아직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겨울이 지나 초봄이 왔지만 많은 이재민은 아직 임시조립주택에 머물며 추위를 견디고 있다.
◇ 울진군, 긴급벌채 착수…항구복구는 올해부터 연차 추진
경북 울진에서는 동해안산불로 산림 약 1만4천140㏊가 탔다.
주택 330곳, 농업시설 203곳, 공공시설 57곳 등 시설피해가 590곳에 이르고 산림피해와 산림소득 등을 포함한 재산피해가 1천356억원에 달한다.
울진군은 응급복구와 항구복구로 나눠 복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군은 응급복구로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1차로 불에 탄 산림을 베어 없애는 긴급 벌채에 나섰다.
현재까지 대상면적 750㏊ 중 432㏊에 대해 벌채에 착수했다.
가로수와 산불감시시설 등 산림시설 복구는 올해 상반기에 마칠 계획이다.
토사유출이나 산사태를 막기 위한 긴급사방사업은 지난해 12월에 58곳에서 모두 마쳤다.
항구복구사업은 올해부터 차츰 진행한다.
군과 산림당국은 산불 피해가 난 산림 벌채를 마친 뒤 올해부터 연차적으로 국유림 4천309㏊, 사유림 8천392㏊에 나무를 심을 계획이다.
사방댐 등 산사태 예방시설이나 휴양시설, 생태복원 등 산림시설 항구복구는 올해부터 예산을 확보해 추진한다.
군은 산불피해지역 1만4천140㏊ 가운데 산양서식지 등 보호가치가 있는 산림 4천420㏊에 대해서는 산림청과 함께 생태복원 기본계획을 세워 복원한다.
나머지 산림에 대해서는 군에서 자체적으로 자연복원과 인공복원 구역을 정해 임도나 사방계획을 수립해 복원할 계획이다.
산불로 발생한 울진지역 이재민은 181가구다.
이 가운데 13가구는 주택을 지어 복귀했고 1가구는 사망해 현재 167가구가 174채의 임시조립주택에 머물고 있다.
불 탄 주택이나 시설은 대부분 철거됐다.
군은 올해 4월 말까지인 임시조립주택 1차 사용기간이 끝나더라도 1년 더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재민이 집을 지어 복귀하면 사용하던 임시조립주택을 살던 이재민에게 우선 팔고, 그 외에는 일반경쟁입찰로 팔 예정이다.
이재민 장영동(87)씨는 "임시주택은 좁고 불편한 데다가 새집 짓는 것도 일이어서 걱정이 크다"고 전했다.
◇ 강원 공공시설 복구율 52%…장마철 이전에 위험지역 복구 집중
경북과 함께 지난해 봄철 대형 산불로 피해를 본 강원 강릉, 동해, 삼척 지역의 공공시설 복구율은 52%에 그쳤다.
강원도는 지난해부터 국비 752억5천만원과 지방비 333억7천만원 등 총 1천86억원을 투자해 복구를 추진해왔다.
3개 시군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 50건 중 현재까지 복구가 이뤄진 사업은 26건(52%)으로 파악됐다.
도는 산불로 보금자리를 잃은 이재민에게 임시 주거시설인 조립주택 24동을 제공했다.
또 산불 피해 주택 59채는 2억3천만원을 투입해 모두 철거했고, 불탄 주택을 철거하면서 나온 폐기물 3만여t도 처리를 마쳤다.
도로와 상수도 시설 복구는 14건 중 9건이 마무리됐고, 나머지는 올해 완료될 계획이다.
산불로 나무들이 잿더미로 변하면서 급경사지에서 산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지사방과 계류보전 사업은 12건 중 8건이 완료됐다.
도는 아직 복구가 마무리되지 않은 나머지 24건은 땅이 녹는 대로 착수할 계획이다.
산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급경사지를 복구하는 사업 중 완료하지 못한 곳은 올해 장마철 이전에 응급조치하고, 주민 대피 계획 등을 마련할 예정이다.
불길에 휩싸였던 동해시 노인요양원의 외부 마감재 등을 교체하는 사업과 동해시 예술인창작 스튜디오 리모델링 사업도 조만간 완료하기로 했다.
삼척시 산불 피해 도로의 낙석방지망 등을 설치하는 사업은 다음 달 재개한다.
산불 피해를 본 나무 중 벌채 대상은 376㏊다.
도는 올해 연말까지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잿더미로 변한 산림을 회복하기 위한 사업은 오는 3월부터 착수해 연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어서 이번 산불 피해 복구사업 중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도 관계자는 "올해 산불 피해지역 복구사업은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능한 장마철 전까지 복구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복구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산림 복구사업은 단계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강릉·동해·삼척도 복구율 절반…산사태 우려지역 응급조치 서둘러
[※편집자 주 = 지난해 3월 4∼13일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강릉과 동해에서 발생한 '동해안 산불'로 산림 2만523㏊가 잿더미가 되고 500명이 넘는 이재민이 삶의 터전을 잃었습니다.
연합뉴스는 산불 발생 1년을 앞두고 복구 현황과 이재민들의 생활, 산불 원인 수사 및 재판 진행 상황, 기후 변화와 산림 특성 등 다양화하는 산불 원인, 예방대책 등을 짚어보는 기획 기사 6편을 송고합니다.
]
지난해 3월 경북 울진과 강원 삼척, 강릉, 동해에서 산불이 발생한 지 1년이 다 됐지만, 복구는 아직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겨울이 지나 초봄이 왔지만 많은 이재민은 아직 임시조립주택에 머물며 추위를 견디고 있다.
◇ 울진군, 긴급벌채 착수…항구복구는 올해부터 연차 추진
경북 울진에서는 동해안산불로 산림 약 1만4천140㏊가 탔다.
주택 330곳, 농업시설 203곳, 공공시설 57곳 등 시설피해가 590곳에 이르고 산림피해와 산림소득 등을 포함한 재산피해가 1천356억원에 달한다.
울진군은 응급복구와 항구복구로 나눠 복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군은 응급복구로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1차로 불에 탄 산림을 베어 없애는 긴급 벌채에 나섰다.
현재까지 대상면적 750㏊ 중 432㏊에 대해 벌채에 착수했다.
가로수와 산불감시시설 등 산림시설 복구는 올해 상반기에 마칠 계획이다.
토사유출이나 산사태를 막기 위한 긴급사방사업은 지난해 12월에 58곳에서 모두 마쳤다.
항구복구사업은 올해부터 차츰 진행한다.
군과 산림당국은 산불 피해가 난 산림 벌채를 마친 뒤 올해부터 연차적으로 국유림 4천309㏊, 사유림 8천392㏊에 나무를 심을 계획이다.
사방댐 등 산사태 예방시설이나 휴양시설, 생태복원 등 산림시설 항구복구는 올해부터 예산을 확보해 추진한다.
군은 산불피해지역 1만4천140㏊ 가운데 산양서식지 등 보호가치가 있는 산림 4천420㏊에 대해서는 산림청과 함께 생태복원 기본계획을 세워 복원한다.
나머지 산림에 대해서는 군에서 자체적으로 자연복원과 인공복원 구역을 정해 임도나 사방계획을 수립해 복원할 계획이다.
산불로 발생한 울진지역 이재민은 181가구다.
이 가운데 13가구는 주택을 지어 복귀했고 1가구는 사망해 현재 167가구가 174채의 임시조립주택에 머물고 있다.
불 탄 주택이나 시설은 대부분 철거됐다.
군은 올해 4월 말까지인 임시조립주택 1차 사용기간이 끝나더라도 1년 더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재민이 집을 지어 복귀하면 사용하던 임시조립주택을 살던 이재민에게 우선 팔고, 그 외에는 일반경쟁입찰로 팔 예정이다.
이재민 장영동(87)씨는 "임시주택은 좁고 불편한 데다가 새집 짓는 것도 일이어서 걱정이 크다"고 전했다.
◇ 강원 공공시설 복구율 52%…장마철 이전에 위험지역 복구 집중
경북과 함께 지난해 봄철 대형 산불로 피해를 본 강원 강릉, 동해, 삼척 지역의 공공시설 복구율은 52%에 그쳤다.
강원도는 지난해부터 국비 752억5천만원과 지방비 333억7천만원 등 총 1천86억원을 투자해 복구를 추진해왔다.
3개 시군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 50건 중 현재까지 복구가 이뤄진 사업은 26건(52%)으로 파악됐다.
도는 산불로 보금자리를 잃은 이재민에게 임시 주거시설인 조립주택 24동을 제공했다.
또 산불 피해 주택 59채는 2억3천만원을 투입해 모두 철거했고, 불탄 주택을 철거하면서 나온 폐기물 3만여t도 처리를 마쳤다.
도로와 상수도 시설 복구는 14건 중 9건이 마무리됐고, 나머지는 올해 완료될 계획이다.
산불로 나무들이 잿더미로 변하면서 급경사지에서 산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지사방과 계류보전 사업은 12건 중 8건이 완료됐다.
도는 아직 복구가 마무리되지 않은 나머지 24건은 땅이 녹는 대로 착수할 계획이다.
산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급경사지를 복구하는 사업 중 완료하지 못한 곳은 올해 장마철 이전에 응급조치하고, 주민 대피 계획 등을 마련할 예정이다.
불길에 휩싸였던 동해시 노인요양원의 외부 마감재 등을 교체하는 사업과 동해시 예술인창작 스튜디오 리모델링 사업도 조만간 완료하기로 했다.
삼척시 산불 피해 도로의 낙석방지망 등을 설치하는 사업은 다음 달 재개한다.
산불 피해를 본 나무 중 벌채 대상은 376㏊다.
도는 올해 연말까지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잿더미로 변한 산림을 회복하기 위한 사업은 오는 3월부터 착수해 연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어서 이번 산불 피해 복구사업 중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도 관계자는 "올해 산불 피해지역 복구사업은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능한 장마철 전까지 복구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복구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산림 복구사업은 단계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