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꿀벌 대량 폐사의 원인이 된 해충인 ‘응애’에 대한 대규모 방제에 나선다. 피해 농가에 500억원 규모의 지원책도 추진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 피해 농가의 조기 회복을 지원하고 피해 재발을 막기 위한 대책을 이같이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지난해 12월에 이은 두 번째 대책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난 대책이 월동 중 꿀벌 폐사 등 피해 최소화에 중점을 뒀다면 이번 대책은 봉군(벌의 무리) 증식, 피해 복구, 재발 방지에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2월 꿀벌 사육 봉군 수는 약 247만 봉군으로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8.2% 감소했다. 월동 전인 지난해 9~11월 40만~50만 봉군에 피해가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농식품부는 기존 방제약품 성분에 내성을 가진 응애가 확산하면서 꿀벌 전염병인 꿀벌응애감염증이 퍼졌고, 꿀벌 폐사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기후변화가 꿀벌 폐사의 주된 원인이란 일각의 분석에 대해선 “아직 직접적인 연관성이 입증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올해는 응애 방제를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응애 박멸 효과가 있는 방제약품을 신속히 공급하고, 6~10월에는 ‘집중 방제기간’을 운영한다. 방제에 소홀한 농가에는 정책자금 지원 대상 선정 시 불이익을 부여해 농가 참여도도 높일 계획이다.

정부는 피해 농가에 대한 500억원 규모의 지원책도 내놨다. 최대 1000만원의 농축산경영자금을 지원하고,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입식비, 화분·기자재 구매비 등을 지급한다. 정부는 또 양봉농협, 지역축협 등에 소속된 우수 농가 400여 곳의 봉군을 분리(분봉)해 피해 농가에 공급하기로 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